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앞으로 정부가 스마트폰, 무선청소기 제품에 대해 내구성이 있는지, 수리와 재활용이 쉬운지, 재생원료를 사용했는지 등을 고려해 등급을 매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K-에코디자인 협의체’ 발족식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자원효율등급제 시범사업’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자원효율등급제는 제품별로 다양한 측면에서 자원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한다. 소비자가 자원 효율성이 높은 제품을 소비하도록 촉진하기 위함이다.

산업부는 지난해까지 유럽연합(EU) 에코디자인 규정 등 해외 제도를 분석해 자원효율성 평가 항목과 방법 등의 세부 사항을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올해부터는 스마트폰, 무선 청소기 등 주요 제품군에 대한 시범사업에 착수한다. 삼성전자, LG전자, 다이슨, 쿠쿠홈시스 등 제조업체가 시범사업에 참여해 자사 제품의 자원 효율성을 평가받게 된다.

산업부는 평가 결과를 놓고 업계 의견을 바탕으로 제품군별로 특화된 평가 방법과 등급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우석 산업정책관은 “K-에코디자인 협의체를 정례화해 제도 방향성과 세부 설계안에 대한 업계 의견을 지속 수렴하겠다”며 “타 제품군으로 시범사업을 확대하고 법제화하는 등 제도 도입에 필요한 사항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