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트위터와 시너지 창출, 슈퍼컴 ’도조’ 출시 기대감 증폭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공언했던 새로운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이달 12일(미국시간) 공식 출범했다. xAI의 출범은 AI시장에 활기를 더할 수 있는 견인차가 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머스크의 새로운 AI기업으로 xAI 출범에 대해 말했을 당시 냉소적인 시각이 많았다. xAI 설립 계획을 밝히기 직전 AI의 부정적 영향을 이야기하면서 역작용 방지를 위해 진화된 AI 개발 중지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AI 개발 중지 여론을 통해 선두주자의 선점을 늦추고 자신이 설립하는 AI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는 틈새를 마련하려는 여론전으로 비춰진 것이다.
이는 생성AI 열풍을 불러일으킨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 견제로 받아들여졌다. 또 머스크는 xAI 공식 출범 직전에도 AI기업의 과도한 데이터 스크래핑을 ‘데이터 약탈’에 비유하면서 트위터 계정의 1일 게시물 열람 제한 정책을 집행해 논란을 유발하기도 했다.
잇단 구설수에도 불구하고 이달 공식 출범한 xAI에 대한 기대감이 나온다. 실리콘밸리 최고 이슈메이커로 자리한 머스크의 시장 참여가 뜨거운 열풍을 북돋을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최근 챗GPT 트래픽이 감소하면서 다소 주춤한 시장에 열기를 다시 불지필 수 있는 불쏘시개로 머스크의 xAI가 역할할 수 있다는 기대다.
이에 더해 xAI의 기술 경쟁력이 낮지 않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xAI에 홈페이지에 소개된 주요 임직원을 살펴보면 딥마인드 출신의 이고르 바부슈킨, 토니 우, 토비 폴렌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근무했던 수학자 그레그 양 등이 등재돼 있다.
이에 더해 AI 선구자 제프리 힌턴 교수의 수제자 중 하나로 알려지며 인용수 15만회에 달하는 아담 논문의 공동저자인 지미 바 토론토대학교 조교수도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론 머스크가 CEO로 근무하고 있는 테슬라는 자율주행을 위한 뉴럴네트워크,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 등 AI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xAI의 기술력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
실제로 테슬라, 스페이스X, 뉴럴링크, 보링컴퍼니 등 머스크가 설립에 참여했거나 CEO로 재직하는 회사들의 협업은 낯선 모습이 아니다.
xAI 역시 테슬라, 트위터 등과 데이터 공유 등을 통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임을 밝히고 있기도 하다. 테슬라가 축적한 자율주행 데이터, 트위터의 자연어 데이터 등은 AI 모델 학습을 위한 최고의 데이터 기반으로, 이러한 견고한 데이터 수집 파이프라인은 xAI의 기대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나아가 테슬라의 슈퍼컴퓨터 ‘도조’ 출시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도 기대를 더한다. 도조는 테슬라가 독자설계한 AI반도체인 ‘D1’을 탑재한 자율주행AI 학습용 슈퍼컴퓨터다.
자율주행AI 학습을 위해 설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xAI가 출범한 만큼 생성AI 학습을 위해 사용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D1 기반의 도조의 본격 가동은 엔비디아 GPU 시스템의 또다른 대안의 등장을 의미한다. 엔비디아가 AI 시스템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경쟁자는 등장만으로도 환호할 수 있게 하는 요소임은 분명하다.
D1은 7나노(nm)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500억개의 트랜지스터 다이가 집적됐다. 업계에서는 이 칩이 400W의 TDP에서 22 TFLOPS의 FP32 성능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 퀄컴, 메타와 협업 확대…“라마2, 온디바이스서 구현한다”
- 카카오브레인, AI 이미지 생성 ‘칼로 웹서비스’ 공개
- 알리바바클라우드, 이미지 생성AI ‘통이 완샹’ 공개
- 스노우플레이크, MS와 파트너십 확대…“대규모 생성AI·ML 강화”
- 챗GPT MAU 첫 감소세…“美 방학시즌, iOS 앱 출시로 트래픽 분산”
- 트위터 ‘무료 사용자 제한’…SNS 대전 예고
- 생성AI(Generative AI)를 넘어선 적응형AI(Adaptive AI)의 전망과 도전과제 ②
- 자동화 물결 견인하는 인공지능(AI/ML), 연 최대 22조 달러 가치창출 효과
- “플랫폼 주인은 기업? 소비자?”…레딧(Reddit) 유료화 시위에 얽힌 ‘불편한’ 진실
- “투자자 이익제한으로 공정성 확보”…오픈AI의 실험 ‘제한수익’ 모델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