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재무적 정보 공시, ’GRI 2021’ 국제표준 반영
LG유플러스가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LG유플러스는 비재무적 정보까지 공시해 ESG 정보공개를 확대했다.
LG유플러스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국제 표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의 최신 개정안인 ‘GRI 2021’을 반영해 산업별로 세분화된 부문별 표준을 신규 도입했다고 전했다.
기존 공통 표준 3개와 주제별 표준 33개에 따랐던 것에서 올해는 보편표준 3개와 주제별 표준 31개, 신규 편성된 부문별 표준 40개를 지표로 추가해 더 많은 ESG 정보를 공개한 것이다.
또 이중 중대성 평가 프로세스도 도입해 LG유플러스의 경영 활동과 가장 크게 연관이 있는 5가지의 핵심이슈를 선정하고, 각각의 목표와 세부 계획을 밝힌 뒤 이에 대한 전략과 활동 성과를 중점 이슈로 분류해 공개했다.
이중 중대성 평가는 회사에 가장 중요한 ESG 이슈를 선정하기 위해 사회·환경이 기업의 재무 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경영 활동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평가 방식이다.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해 LG유플러스는 경영 활동과 관련이 있는 5대 핵심이슈로 ▲고객 만족도 향상 ▲에너지 사용·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일과 삶의 균형 추구 ▲재생에너지 사용량 확대 ▲정보보안·개인정보보호 관리 강화 등을 선정했다.
환경분야에서 내외부 소통을 바탕으로 한 환경경영과 용수관리·폐기물 관리 등을 통한 자원순환 활동 현황, 친환경 통신 기술 서비스 등을 수록했다.
사회분야에서는 ▲인권경영 ▲다양성 확보 ▲안전보건 ▲사회공헌 ▲동반성장 등에 대한 내용을 소개했다.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정도경영과 준법경영, 리스크 관리 등에 LG유플러스의 경영 상황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이홍렬 LG유플러스 ESG추진실장은 “이번 보고서는 LG유플러스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ESG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작성했다”며 “다양한 ESG 활동과 목표 등을 향후 보고서를 통해 지속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U+, 예스24·큐비콤과 5G 특화망 기반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 LGD, ‘2023 ESG 리포트’ 발간…2050 탄소중립 달성 선언
- KT, 18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ESG 성과 공유
- 카카오페이, ESG 캠페인 ‘돌아온 전자문서 그린 챌린지’ 전개
- 레노버, “직·간접 온실가스 배출 50% 저감”
- “협력사 ESG 활동 돕는다”…LG전자, 1천억 규모 ‘ESG 펀드’ 신규 조성
- 국내 비즈니스 리더 64%…“지속가능성, 4년 내 수행할 단기 목표”
- 네이버, 해수부와 MOU…해양·수산 분야 ESG 가치 확산 ‘맞손’
- 우리금융, ‘2022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하나은행, 대한상의와 MOU…中企 ESG경영 지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