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스나인 ‘딥리얼 라이브’에 실감가시화 기술 적용…'코드네임 부산' 생방송 송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공동연구기관 펄스나인과 함께 페이스 스왑 기반의 실감 가시화 기술을 활용한 생방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실감 가시화 기술을 적용해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해상도 고도화·실감화를 생생하게 재현했다. 중저품질로 렌더링된 어색한 디지털휴먼 동영상을 AI기술을 이용해 사람이 구별할 수 없는 수준으로 변환한 것이다.
‘코드네임 부산’ 프로그램에 적용된 기술은 기존 한계에 부딪힌 디지털휴먼의 해상도를 실제 사람 수준으로 높여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이다.
생성AI 기술로 생성된 동영상이 경우, 시간 일치성이 부족해 영상의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반면, ETRI가 개발해 실시간 방송에 적용된 기술은 생방송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떨림을 제거했다.
또 생방송을 지원할 정도의 실시간성을 보장해 향후 디지털 휴먼이 등장하는 교육, 방송, 쇼핑, 영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ETRI CG/비전연구실 이승욱 책임연구원은 “디지털 휴먼의 해상도 향상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게임영상 등 저해상도 또는 저품질로 만들어진 디지털 휴먼 영상을 사람이 구별할 수 없는 수준의 고품질 영상으로 만들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ETRI 정일권 콘텐츠연구본부장도 “최근 연구진은 디지털 휴먼 뿐만 아니라, 콘텐츠 영역 전반에 활용 가능한 생성형 AI 기술을 개발 중이다. 실제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관련 기술 및 산업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연구기관인 박지은 펄스나인 대표는 “이번 생방송 프로그램의 해상도 고도화 실연 성공에 힘입어 최근 방송가의 UHD 방송장비 시스템 도입화에 발맞춰 디지털 휴먼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제작에 힘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이스트소프트, “AI휴먼으로 중동시장 공략 강화”
- ETRI, ‘AI 패션 코디네이터’ 경진대회…“자율성장 AI 활용 저변 확대”
- ETRI, ‘오픈소스 테크데이 2023’ 성료…오픈소스 기술 연구성과 공개
- ETRI, ‘2023 AIoT 국제전시회’서 최첨단 IoT기술 16종 공개
- “야채의 크기·신선도 판단까지 가능”…ETRI, 촉감 제어 로봇 그리퍼 개발
- ETRI, 디지털휴먼 품질평가 국제표준 제정
- 국내 홈트시장에 AI휴먼 홈트레이너 첫 선
- 딥브레인AI, ‘AI엑스포 2023’서 대화형 AI 키오스크 공개
- 이스트소프트, MS와 맞손…AI 휴먼 신사업 글로벌 확장
- LG전자, 전국 서비스센터에 디지털휴먼 수어 서비스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