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1,500도 화염에서도 20분 이상 손상되지 않고 견디는 배터리 열폭주 지연 소재를 LX하우시스와 공동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양사가 공동 개발한 ‘특수 난연 열가소성 연속섬유 복합소재(특수 난연 CFT)’는 강한 화염과 높은 압력에서도 기존 복합소재 대비 14배 이상 긴 시간 동안 견딜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LG화학은 자체 테스트 결과 1.6mm 두께의 얇은 특수 난연 CFT에 1,500도 이상의 열과 압력을 가했을 때 20분이 지나도 녹아 흘러내리거나 구멍이 생기지 않았다. 이는 업계 최고 수준의 화염 차단 성능이라고 LG화학은 소개했다.
이 복합소재에는 LG화학의 열폭주 지연 소재 기술과 LX하우시스의 열가소성 복합소재(CFT) 제조 기술이 적용됐다. LG화학이 지난해 개발한 열폭주 지연 소재는 1,000도 이상에서 당시 세계 최장시간인 10분 넘게 화염을 차단하는 성능을 가졌다.
LX하우시스는 LG화학의 소재를 테이프 형태로 만들어 적층하는 제조공법을 사용해 차단 성능을 높였다.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인 열폭주는 다양한 원인으로 배터리 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며 열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전기차의 대중화를 늦추는 요소 중 하나로 지목돼왔다.
특수 난연 CFT는 단단하고 힘에 의한 변형이 작아 전기차(EV) 배터리 부품 중 크기가 큰 배터리팩 상단 및 하단 커버 등에 쓰일 수 있다.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불길이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운전자의 대피와 화재 진압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양사는 기대했다.
LG화학 신재명 엔지니어링소재사업부 마케팅부문 담당은 “지난해 배터리 열폭주 지연 소재를 개발해 알린 이후 LX하우시스와 긴밀하게 협업해 왔다”며 “전기차 운전자의 일상을 더 안전하게 지키는 동시에 고객의 페인 포인트를 해소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기아·포드·현대차 등 6개사 24개 차종 7만5348대 리콜
- LG엔솔 3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7,312억원 전년비 40.1% 증가
- GM, 전기차(EV) 생산 목표치 수정…“수요 둔화로 생산 줄인다”
- 온세미, 부천 SiC 팹 준공식…연 100만 SiC 웨이퍼 생산체제 구축
- 엔비디아, 폭스콘과 전기차(EV) 혁신 파트너십 구축
- 올해 친환경차 수출, 역대 최고 기록 경신할 듯
- 버티브, 전력효율성·확장성 개선 ‘리버트 APM2’ UPS 출시
- 콘티넨탈, 딥드라이브와 EV용 구동·제동통합유닛 개발·상용화 추진
- 반도체·이차전지 핵심소재 中 의존도 ‘절대적’…수출통제시 타격 우려
- 전기차(EV) 모터용 희토류 영구자석, 국내서 생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