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위성통신의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적용을 주제로 한 6G 포럼 이슈리포트를 6G 포럼 공식 사이트에 공개했다.
6G 포럼은 차세대 이동통신의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만들어진 민관 합동 포럼이다. KT는 이 포럼 산하의 차세대 모빌리티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이슈리포트 발간을 통해 UAM의 안전 운항에 필요한 위성통신 기술 적용 계획을 공유했다.
KT는 리포트에서 2025년 상용화를 앞둔 UAM에 위성통신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K-UAM 및 KT 컨소시엄 동향 ▲위성통신 동향 및 기술 ▲UAM을 위한 위성통신 기술에 관한 내용을 다뤘다.
위성통신은 5G 항공망과 함께 UAM 기체를 관제하고 승객에게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요한 후보 기술로 꼽힌다. 고비용, 전송속도의 문제로 기존에는 항공기와 선박 중심으로 활용됐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에도 위성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등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5G와 위성통신을 결합한 ‘5G-위성 멀티커넥티비티(Multi Connectivity)’ 기술도 소개했다. 5G 통신망과 위성 간 데이터 전달 채널을 이중화 구조로 구현해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를 지속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KT는 내년 상반기에 참여 예정인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에서 5G 항공망 기술과 5G-위성 멀티커넥티비티 기술을 활용해 UAM의 운항 과정에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이번 리포트에서 언급한 UAM에서 위성통신을 활용하기 위한 계획·비전에는 KT가 보유한 5G와 위성통신 기술의 노하우를 담았다”며, “향후 6G를 비롯해 위성통신 분야의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LGU+, 이노와이어리스와 상공망 통신품질 측정 솔루션 공동 개발
- KT SAT, ‘APSCC 2023’서 다중궤도 위성서비스 성과 공유
- LGU+, KAIST·큐노바와 6G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최적화 성공
- SKT·조비, UAM 상용화 시동 속도전…“내년 조비 기체 국내 들어온다”
- 과기정통부, 독자 저궤도 위성통신망 확보 나선다
- MZ세대 연구리더 키운다…ETRI, 차세대주역 신진연구 6개 과제 선정
- LG전자, 6G 협의체 NGA 애플리케이션 워킹그룹 의장사 선정
- 카카오모빌리티, 英 버티컬과 UAM 상용화 ‘맞손’…MaaS 해외시장 진출 모색
- 현대모비스 조성환, “SW-실리콘 통합 플랫폼으로 모빌리티 혁신 가속화”
- 철도·버스·택시 등 단일 앱에서 검색-예약-결제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