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 모터 심포지엄서 플랫폼 프로바이더 전략 공유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이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 도약 전략의 추진내용을 공개하고 신성장 사업 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2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된 ‘제44회 비엔나 모터 심포지엄(International Vienna Motor Symposium)’에 조성환 사장이 초청 강연자로 나서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현대모비스의 전략적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비엔나 모터 심포지엄은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 국제적 권위를 인정받는 연례 학술대회다. 올해 대회는 전동화 전환이 핵심주제로 25개 국가에서 1천명이 넘는 완성차 및 부품사, 학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초청 강연에서 조 사장은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 비전을 소개하고 그룹 전략과 연계한 현대모비스의 대응 전략을 구체화했다.
조 사장은 “우수한 품질의 소프트웨어(SW)와 최적의 반도체를 기반으로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분야에서 현대모비스만의 차별화된 플랫폼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성장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도 내비췄다. 기 확보한 배터리시스템(BSA) 등 전동화 요소 기술을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로보틱스 등 신사업 추진에 활용하는 방안이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EV) 전용 플랫폼에 탑재되는 배터리시스템과 구동시스템(Electric Drive Unit), 통합충전시스템(ICCU) 등을 양산·공급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조만간 전동화 핵심기술을 신성장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심포지엄에서 조 사장은 모빌리티 기술 혁신이 인간 삶의 질과 가치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조 사장은 “모빌리티 기술의 진보가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이동 간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결국 인간 삶의 질을 높여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비엔나 심포지엄에는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을 비롯해, 토마스 슈몰 폭스바겐그룹 부품 부문 CEO 겸 CTO, 스테판 하르퉁 보쉬 회장, 크리스토프 스타진스키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개발 담당 부사장 등이 주요 강연자로 참석했다. 현장에서는 주제 강연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와 전동화 전환 흐름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관련기사
- 상해모터쇼 참가한 현대모비스, “올해 중국시장, 10억 달러 수주 목표”
- “ARM 모바일 SoC, 인텔 18A 공정 지원”…인텔·ARM 기술 협력 발표
- “반도체 시장 메가트렌드 핵심은 실리콘 설계(Design)의 혁신”
- 현대모비스, 4륜 독립제어 가능한 ‘인휠 시스템’ 개발
- 인피니언, 대만 파운드리 UMC와 협력…“차량용 MCU 생산 늘린다”
- [단독] 팹리스 1세대 넥스트칩, 日 상용차 ‘히노(HINO)’에 아파치5 공급한다
- 모빌리티 경연장 된 ‘CES 2023’…완성차-빅테크 간 경쟁우위 각축전
- 스트라드비젼 객체인식SW ‘SV넷(SVNet)’, TI ‘TDA4’ 프로세서에 탑재된다
- 비트센싱, 에이치제이웨이브와 차세대 레이더 개발 ‘맞손’
- “자율차 인프라 구현”…LGU+, 4개 부처 주관 실증사업 과제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