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역·고대역 이중연결성 구현
스몰셀 기반 5G 특화망 활성화 기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Sub-6GHz(중대역)와 밀리미터파(고대역) 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연결성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이번 기술 개발로 5G 특화망에 활용되는 스몰셀 기지국의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됐다.
이중연결성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동시 접속해 동작시키는 기술로, 2개의 기지국에서 동시에 사용자에게 연결돼 획기적인 전송속도의 향상과 기지국 부하 분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허나 기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했던 밀리미터파 스몰셀 기지국은 LTE와 5G를 결합한 NSA모드에서만 활용될 수 있어 단독망으로 구축되는 5G 특화망에서는 활용이 어려웠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 LTE 기지국의 제어 없이 5G 단독망에서도 밀리미터파 스몰셀 기지국을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5G 특화망에서 데이터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다. ETRI에 따르면,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세계 최고 수준인 다운링크 3Gbps, 업링크 800Mbps 속도를 스몰셀 기지국에서 구현할 수 있다.
ETRI는 단순 데이터 전송속도 측면에서의 기술적 우위뿐 아니라 5G 상용화 이후 고속전송에 강점이 있는 밀리미터파 주파수 사용의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속 업링크 성능은 5G 특화망 솔루션의 핵심 조건으로, 업링크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가 예견되는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스마트빌딩 등에서 밀리미터파 주파수 기반 5G 특화망 활용이 이번 기술로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 ETRI는 다수의 스몰셀 기지국이 자동으로 연동해 동작하는 플러그-앤-플레이 기술도 적용해 기지국 운용의 복잡도도 낮췄다.
트래픽과 사용자 위치를 예측해 스몰셀 기지국 장비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해 전기 에너지 사용량도 낮췄고 저사양의 하드웨어로 매크로 기지국과 유사한 성능의 스몰셀 기지국을 구축할 수 있어 비용효율성도 높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ETRI 김일규 이동통신연구본부장은 “5G 기술만으로 밀리미터파를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말 최대 전송 속도를 3Gbps까지 달성했다”며 “저비용으로도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성공했고 밀리미터파 스몰셀의 활용도가 크게 높아지게 됐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홍진배 네트워크정책실장은 “5G 스몰셀이 5G 특화망에서 다양한 융합서비스가 활성화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향후 기술이전, 시제품 제작, 판로 개척 등 스몰셀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산업 기술개발 과제인 ‘5G NR 기반 지능형 오픈 스몰셀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개발됐으며 유캐스트, 퀄컴, 콘텔라, 한화시스템, SK텔레콤 등이 공동연구기관으로 참가했다.
관련기사
- ETRI, 홀로그램 기술로 CES 혁신상 수상
- ETRI, 美 노스이스턴대와 오픈랜(O-RAN) 연구 협업 본격화
- LG전자, “산·학·연 파트너와 통신기술 주도권 선점”
- KT·인천공항공사, 5G 특화망 기반 스마트공항 만든다
- LGU+, 예스24·큐비콤과 5G 특화망 기반 ‘스마트 물류센터’ 구축
- KT, HFR과 5G 특화망 확대 MOU…중소·중견기업 DX 지원
- 메가존클라우드, 과기정통부 이음5G 기간통신사업자 선정
- KT, AI 관제 솔루션 ‘아이온’에 AI 모델 자동화 관리기술 적용
- 네이버클라우드, 호반건설과 국내 첫 건설현장 이음5G 실증
- CJ대한통운, 이천 2풀필먼트센터에 국내 최초 ‘이음5G’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