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가 삭제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 촬영물이 24만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운영하는 디성센터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으로 올해 삭제 조치된 피해 촬영물은 24만3855건이다. 삭제 건수는 2018년 2만8000여건에서 2019년 9만5000여건, 2020년 15만8000여건, 2021년 16만9000여건, 지난해 21만3000여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당사자 등의 요청 없이 신속하게 삭제에 나선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은 전체의 21.6%(5만2000여건)에 달했다.
디성센터에 따르면, 해외 포털사업자와 유관기관과의 공조를 강화하면서 국내법을 적용받지 않는 해외 불법 사이트에 올라온 촬영물 2만7000여건을 삭제했다.
여가부는 심층상담과 의료·법률 연계 등을 지원하는 지역 특화상담소를 14개소로 늘리고 내년부터는 지속해 상담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방식을 개선해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역 상담원의 상담역량 강화를 위해 통합매뉴얼도 제작·배포할 예정이다.
최성지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앞으로도 피해 촬영물을 신속하게 삭제하고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생성AI 고도화, 사이버공격 트렌드 변했다…“AI 기반 공격 크게 늘 듯”
- ‘양날의 칼’ 인공지능(AI), 지능형위협(APT) 확산으로 긴장감 고조
- 중기부, ‘도전! K-스타트업 2023’ 참가자 모집…내달 27일까지
- 랜덤채팅·SNS로 만난 10대 협박해 성착취물 제작·유표한 고교생 구속
- “초등 4학년 16%는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 10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수 급증세…3년새 11배 증가
- 정부, 인터넷사업자 대상 디지털성범죄물 필터링 기술·DB 지원 확대
- 네이버, 성적 불쾌감 유발하는 댓글 걸러낸다
- 네이버 뉴스혁신포럼 출범…“뉴스 투명성·공정성 높일 것”
- “지난해 주요 인터넷 플랫폼 사업자, 불법 촬영물 등 8만건 이상 삭제·차단”
한지선 기자
desk1@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