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새로 출시되는 스마트폰 중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프리미엄 제품군 비중이 5%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도 2년 간의 침체기를 끝내고 내년에는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날리스는 31일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올해 스마트폰 연간 출하량은 11억3000만대로 전년비 -5%의 역성장이 예상되나, 내년에는 11억7000만대로 4%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인도·동남아 등 신흥국에서의 판매가 늘어나면시 시장 전체를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카날리스에 따르면, 올해부터 6년간 연평균성장률은 2.6%에 달하며 2027년 출하량은 12억5000만대 규모로 전망된다.
산얌 차우라시아 카날리스 수석애널리스트는 “아태지역에서의 판매가 2017년 5대 중 하나꼴이었다면 2024년에는 3대 중 한 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날리스는 내년에 출시되는 스마트폰 중 AI 기능이 탑재된 제품은 약 5%인 6천만대 수준으로 내다봤다.
카날리스는 시스템온칩(SoC)에 AI 성능을 제공하는 프로세서(AP·TPU 등)가 탑재되고 구글 제미나이, 삼성 가우스 등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AI폰으로 규정하고 있다.
구글이 공개한 ‘픽셀8 프로’, 내달 출시가 예상되는 삼성전자 ‘갤럭시S24’ 등이 LLM을 구동하는 온디바이스AI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카날리스는 프리미엄 제품군이 서유럽·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스마트폰 교체수요가 크지 않아 판매는 주춤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제품군의 실제 성장 사이클은 AI 기능과 사용 사례가 교체 동기를 줄 만큼 충분히 강해지는 2024~2025년까지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4년 AI폰 출하량을 카날리스보다 많은 1억대 이상으로 전망했다. 2027년에는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의 40% 수준인 5억2200만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 ‘갤럭시S24’ 조기 출시설…‘픽셀’ 이은 두 번째 생성AI폰 기대감 증폭
- 삼성, 한국통신학회와 생성AI 기술 고도화 ‘맞손’
- “인공지능(AI) 상용화 원년…더 커진 혁신 요구에 답할 때”
- “가볍고 빠른 고성능 AI 기능이 한 손에”…온디바이스AI 시대가 온다
- 구글, 대규모언어모델(LLM) ‘제미나이’ 공개…“인간 뛰어넘은 첫 AI 모델”
- ‘소비심리 위축’ 직격탄 맞은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 기지개 켠다
- 클라우드 성장 동력 ‘생성AI’…3분기 글로벌 IaaS 지출 16% 증가
-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27개월 연속 감소세 종료
- 삼성, 자체 개발한 생성AI 모델 ‘삼성 가우스’ 첫 선
- SK 최태원 “녹록지 않은 경영환경, 내실 갖추는 계기 삼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