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클 투 서치’, 이달 말 안드로이드폰에 적용
구글이 인공지능(AI)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검색 기능을 강화한다. 구글은 ‘서클 투 서치’로 명명된 생성AI 기반 검색 기능을 이달 말부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적용할 계획이다.
17일(현지시간) 공개된 서클 투 서치는 스마트폰 화면에서 원을 그리거나 손가락으로 하이라이트해 바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동작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물론 검색을 위해 별도의 앱을 켜거나 화면을 이탈하지 않아도 돼 검색의 편의성을 높인다.
가령 스마트폰 이용 중 궁금한 이미지, 영상 등을 만났다면, 스마트폰 화면 상에 원을 그리거나 손가락으로 하이라이트하는 간편한 동작으로, 검색 앱 구동 없이 해당 대상에 대한 개요, 비슷한 제품, 구입 가능한 웹사이트 등을 찾을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모두 확인한 이후에는 아래로 화면을 미는 간단한 동작으로 기존 창으로 돌아갈 수 있다. 같은날 열린 ‘갤럭시 언팩 2024’ 현장에서 공개된 갤럭시S24 시리즈에 이 기능이 도입됐다.
엘리자베스 리드 구글 부사장은 “궁극적으로 이용자들이 어디에서든 원하는 방식으로 검색할 수 있는 미래를 제시하고자 한다"고 말하며 “앞으로도 이용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생성형 AI 활용법을 연구해 검색 경험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클 투 서치는 픽셀 8, 픽셀8프로, 갤럭시S24 등 프리미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이달 31일부터 영어는 물론 한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구글은 ‘멀티서치’에 AI 기술을 접목해 검색 경험을 개선한다는 점도 밝혔다. 가령 중고마켓에서 보드게임을 구매했는데 게임 설명서가 없을 때 이용자는 구글 렌즈를 이용해 보드게임의 사진을 찍은 뒤 하단의 검색창에 ‘게임 방법을 알려줘’ 등의 대화형 질문을 입력하면 생성AI로 원하는 검색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I가 접목된 멀티서치는 미국에서 영어로 먼저 출시되며 추후 더 많은 언어로 확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GCP, 리테일 혁신 생성AI 기술 공개
- 마약류 불법 유통·허위광고 잡는다…식약처, AI 시스템 구축 추진
- “AI기술 악용, 생체인증 우회”…올해 주목해야 할 보안 위협 키워드
- 특허청, LA AI연구원과 특허전용 초거대AI 언어모델 구축
- 네이버, “초대규모AI로 공공 서비스 혁신”
- “인공지능(AI) 상용화 원년…더 커진 혁신 요구에 답할 때”
- 2024년 디지털 마케팅 키워드…“생성AI 검색 서비스, 초개인화에 주목”
- 오라클·MS, 빙 검색 확산 ‘맞손’…검색 인프라에 오라클 OCI 활용
- GCP, “생성AI로 사이버보안 해결”…보안 제품에 듀엣AI 적용
- SKT 주도 ‘K-AI 얼라이언스’에 올거나이즈·임프리메드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