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미디어텍, 노타와 협력해 온디바이스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과 관련된 초기 단계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3사가 개발한 이 기술은 단말이 이동통신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송·수신 완료 이후에도 일정 시간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됐다.
SK텔레콤은 최근 통화 외 상시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이뤄지는 이용 행태를 고려할 때 연결 유지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절감이 필요하다는 데 착안하고 단말 자체적으로 일정 시간의 트래픽 발생 여부를 예측해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연결 상태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해 왔다.
특히 사용자 데이터 발생의 원천이 되는 스마트폰이 서버단보다 트래픽 예측에 적합하다고 보고, 온디바이스AI 형태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스타트업 노타와 모바일 AP 제조사인 미디어텍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3사는 단말 전력 효율화에 적합한 AI 모델을 선정한 이후 스마트폰에서 저지연·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양자화(Quantization), 가지치기(Pruning) 등의 기법을 활용해 AI 모델 경량화에 집중했다.
또 경량화된 AI 모델을 실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모뎀에 구현해 실시간 동작을 확인했고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발생 예측 정확도를 확보해 스마트폰 소비전력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을 검증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이번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온디바이스AI에 대한 통신 영역의 선제적 연구개발 사례인 것은 물론 제조사가 하드웨어 측면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용량 증가 및 부품 저전력화 노력 등과 병행할 경우 배터리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달 말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4’에서 구체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며 향후 관련 AI 모델 고도화 및 네트워크 연동 시험을 통해서 기술적 완성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온디바이스AI 기반 통신 기술의 진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고객경험 개선을 위해 이동통신 각 영역에 AI를 적용해 나가는 연구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T, 현대해상과 보험서비스 AI 전환 전방위 협력
- SKT·인텔, 저지연 코어망 핵심기술 개발…“통신지연 최대 70% 감소”
- SKT, 3개 대학과 6G 주파수 최적화 망 구조 설계 연구 검증
- 중계기 설치 임차료 담합…공정위, 이동통신사에 과징금 200억원 부과
- 하나은행·SKT,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1기’ 데모데이 성료
-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 AI반도체 팜 구축·실증사업 완료
- SK하이닉스, 초고속 모바일용 D램 ‘LPDDR5T’ 상용화
- “스마트폰 보호필름, 필요 없어요”…자가치유 디스플레이 등장할까?
- SK하이닉스·미디어텍, 모바일용 D램 ‘LPDDR5T’ 성능 검증 완료
- 삼성, 리눅스재단 ‘RISE’ 운영 이사회 합류…오픈 IP ‘RISC-V’ 생태계 키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