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대비 안테나 2배 확장, 신호품질·서비스 범위 개선 기대
KT가 통신장비 전문업체인 이노와이어리스와 함께 5G/LTE의 동시 서비스가 가능한 ‘스몰 셀’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스몰 셀은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일반 기지국의 신호가 약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음영 지역에서 서비스 범위와 용량을 늘리는 통신장비다. 양사는 이 장비의 성능 검증도 완료했다.
양사가 개발한 5G/LTE 통합 스몰 셀은 4개의 안테나로 5G 데이터를 송수신(4T4R)하고 2개의 안테나는 LTE를 송수신(2T2R)한다. 하나의 스몰 셀에 6개의 안테나가 설치됐으며, 이 장비는 5G 단독모드(SA)와 비단독모드(NSA) 모두를 지원한다.
KT는 “해당 스몰 셀이 기존 대비 안테나 개수가 2배로 늘어 신호 품질이 향상되고 서비스 범위가 넓어졌다”며, “데이터 송수신 속도의 경우 최대 2배까지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KT는 인터넷선만 연결하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LTE 스몰 셀 ‘기가 아토’을 2017년에 개발했다. 현재 전국에 약 20만대의 기가 아토가 현장에 적용돼 있다.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 구재형 상무는 “이노와이어리스와의 협업을 통해 5G 서비스 범위 확대와 고객 체감 품질 향상시키는 해결책을 확보했다”며 “우수 기술력을 가진 국내 통신장비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5G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T, NTT도코모와 가상화 기지국(vRAN) 기술백서 발간
- ‘MWC 2024’ 현장 찾는 통신3사…AI신기술 공유·신사업 확장 논의 잰걸음
- LGU+, 에릭슨엘지와 오픈 API 기반 5G 플랫폼 기술 검증 완료
- KT 실적발표, 지난해 매출 26조3870억원…영업익 2.4% 감소
- 제4 이통사에 스테이지엑스 선정…28GHz 주파수 경매 승자
- SKT, 3개 대학과 6G 주파수 최적화 망 구조 설계 연구 검증
- 중계기 설치 임차료 담합…공정위, 이동통신사에 과징금 200억원 부과
- “초고속 광원 소자로 데이터 폭증 문제 해결”
- KT, KAITUS와 5G·AI 기반 안티드론 플랫폼 구축한다
- KT, 에이블스쿨 5기 입교식…디지털 신기술 분야 청년인재 양성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