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국제 환경기구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가 발표하는 ‘2023 기후변화(2023 CDP Climate Change)’에서 최고 등급인 ‘리더십A(Leadership A)’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CDP는 글로벌 금융투자기관이 주도해 전세계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및 환경 관련 경영 정보 공개를 요청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DJSI, MSCI 등 주요 ESG 평가기관의 환경 관련 데이터 소스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는 전세계 2만3000개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으며 347개의 기업이 최고 등급인 리더십A를 받았다. 이 등급을 획득한 국내 기업은 카카오를 포함해 총 10곳이다.
CDP한국위원회에서는 전날(13일) ‘기후변화 대응·물경영 우수기업 시상식’을 진행하고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통신부문)’에서 카카오를 포함해 총 4개사에 최상위 등급을 수여했다.
카카오는 지난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글로벌 이니셔티브 ‘RE100’에 가입한 바 있다. 이용자의 다양한 친환경 활동 참여 독려를 위해 자체 개발한 이용자 환경기여 지표(카카오 카본 인덱스)도 기업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카카오 홍은택 대표는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이용자가 함께 동참할 수 있는 실질적 활동들을 고민하고 꾸준히 실천한 결과”라며 “올해도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카카오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이용자 보호 평가서 LGU+·SKT ‘매우 우수’…애플·메타는 ‘미흡’ 최하위
- 카카오, 포털 다음에 22대 총선 특집 페이지 오픈
- 유심 플레이트 크기 절반으로…LGU+, “플라스틱 소비 연간 1톤 절감”
- 슈나이더, “HW·SW·자동화 통합으로 배터리 산업 지속가능성 뒷받침”
- 카카오 준신위, 6개 협약사에 3개 개선안 권고
- “탄소중립포인트, 네이버페이로 받는다”
- 환경 관련 사이트 대상 디도스(DDoS) 공격 폭증 ‘주의보’
- SK, ‘CES 2024’서 7개 계열사 통합전시관 운영…“넷제로·AI 분야 외연 확장”
- “인공지능(AI), 기업 의사결정 필수요소로 확고한 자리매김”
- “기후문제 해결, 민간기업·시민사회 참여 절실”
한지선 기자
desk1@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