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를 위해 5개 시·도와 함께 정책협의 채널을 마련하고 협력을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부산시, 울산시, 전북도, 전남도, 경남도와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이 참여하는 ‘제1차 조선산업 중앙지방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앞서 지난 3월 출범한 ‘K-조선 차세대 이니셔티브’에서 산업부-조선사 간 원팀을 구성한 바 있다. 산업부는 이번에 신설된 협의회를 분기별로 정례화할 계획이다.
이날 협의회에서 지방자치단체들은 현장의 애로를 전달하고 내년도 신규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 인력 수급 애로, 중형조선사의 선수금 환급보증(RG) 등을 건의했다.
산업부는 금융위원회, 법무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산업부는 4급 공무원을 HD현대중공업에 파견한 울산시의 적극행정 사례를 소개하면서 “타 지자체도 이를 벤치마킹해 조선 기업별 전담 지원 공무원을 지정하고, 산업부 담당 부서 간 핫라인을 구축해달라”며 “기업의 애로 사항이 발생했을 때 더욱 신속하게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과거 조선산업이 위기를 겪을 때에도 중앙·지방정부 간 협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것처럼 미래에 대한 대비도 중앙·지방정부 간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산업부, AI 신산업정책 위원회 출범…“AI 활용 자율공장 도입 확산”
- 다쏘시스템, HD현대중공업 설계·생산 통합 플랫폼 구축
- 정부, 美 MIT·조지아텍 등 6개 기관과 ‘산업기술 협력센터’ 설립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비전·한화정밀 인적분할…“독자경영으로 전문성 강화”
- 네이버·HD현대, 클라우드 전환 사업화 추진…조선·해운 DT로 신사업 ‘맞손’
- 부산 해양 모빌리티 특구, 친환경·자율운항 선박 개발 추진
- 플랜트·조선 엔지니어링 트렌드 조망…‘플랜트 조선 컨퍼런스 2024’ 개최
-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하청 노동자 계단서 추락사
- 이음5G 활용, 지난해 2배 확대됐다
- 과기정통부·외교부, AI·디지털 분야 외교정책 ‘맞손’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