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3차원 음향 인텐시티 기반 누설 감지 기술 개발
플랜트 내 대형사고 방지를 위해 원거리에서 배관 누설음을 탐지해 실시간 누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대형 플랜트의 사고대응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한국기계연구원에 따르면, 우정한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배관 누설사고 발생 시 음향 센서를 이용해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팀은 방향 탐지가 가능한 4채널 음향센서 모듈을 최적 분산 배치해 배관 누설이 발생한 위치를 즉각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스템 내 3D 가상공간과 CCTV에서 추정한 위치 정보를 확인해 누설사고 발생 시 작업자가 신속하게 관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에는 음향의 크기를 나타내는 음압(Acoustic Pressure)만을 주로 이용했고 누설 지점에 근거리로 접근해야만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고, 모듈 당 100여개 채널의 음향 센서를 이용하는 고가의 장비를 활용해야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의 핵심은 음향 인텐시티(단위면적 당 소리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물리량) 기반 신호처리 기법이다. 이상 데이터 자동제거 알고리즘을 통해 반사 혹은 잔향 영향이 큰 환경에서 발생하는 탐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1m 이내(추정 오차 3도 이내) 오차로 탐지할 수 있고 시스템 내 3D 가상공간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또 기존 장비보다 모듈 당 음향 센서를 100여개 채널에서 최소 4채널로 줄이는 등 소형화하면서 30% 이상 가격도 절감했다. 탐지 결과도 원거리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기계연 우정한 선임연구원은 “3차원 음향 인텐시티 기반 누설 감지 기술은 각종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을 찾아내고 특성을 분석해 소음을 기반한 사고 원인 파악에 용이하다”며, “사건·사고의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고 기타 방범용 경보 감시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기계연 기본사업 ‘인공지능 기반 기계시스템 예측진단 및 사고대응 기술 개발’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국가개발연구사업 평가 완료…저궤도6G·무기발광DP 예타 통과
- 日도레이, 구미에 첨단소재 생산시설 구축…내년까지 5천억원 투자
- 정부, 칠레와 리튬 등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 기계연, 제로 GWP 냉매 활용 ‘터보-브레이튼 냉각시스템’ 개발
- 산업부, 도전·혁신형 R&D 사업·과제 수요조사…내달 15일까지
- “지능형 로봇산업 활성화…사회적 지능 R&D에 투자해야”
- “전세계 양자정보기술 시장, 2030년 155조원 이를 듯”
- ETRI, “기술사업화 통합지원체계로 기업성장 지원”
- 기계연, 선박용 암모니아 엔진 연소 기술 국내 최초 실증
- SKT, 경찰대와 AI 기반 범죄예방 기술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