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국립중앙박물관과의 업무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디지털전환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실증에 나선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연구개발과제로 2020년부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역사 문화의 재탄생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ETRI는 이번 연구과제에서 AI 기반 문화유산의 데이터 분석기술과 표준화를 진행해 ▲데이터 패브릭 기반 아카이브 ▲AI 기반 문화유산 분석 ▲디지털 헤리티지 표준 ▲생성AI 기반 데이터 확장 ▲다양한 수요처 플랫폼 공유 등의 성과를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토대로 ETRI와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능형 디지털 헤리티지 공유 플랫폼을 만들어 박물관 유물관리와 보존연구, 몰입형 실감 콘텐츠, 인터랙티브 문화재 교육 등을 전개했다.
양 기관이 개발 중인 디지털 헤리티지 공유 플랫폼은 AI기술에 기반을 둔 데이터 패브릭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디지털 문화유산 데이터의 즉각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고품질 디지털 문화유산 데이터 저장·활용에 대한 디지털 표준 프로세스도 정립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디지털 헤리티지 공유 플랫폼에 대한 실증 진행과 더불어 공동연구기관인 문화유산기술연구소, 리스트, 중앙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등과 관련 산업체와 학교로 공유·확산을 위한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ETRI가 개발한 디지털 표준 기술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은 문화유산기술연구소와 인천국제공항 터미널1의 밀레니엄홀에 국보 반가사유상 디지털 콘텐츠도 구축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은 평생도(平生圖) 콘텐츠, 디지털 광개토대왕릉비 콘텐츠 등을 개발, 전시 중이며 최근에는 미국 클리브랜드미술관과 문화유산 실감 콘텐츠 공동 전시를 진행하기도 했다.
ETRI 콘텐츠융합연구실 이재호 책임연구원은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데이터들의 수많은 디지털 작업은 대한민국 디지털전환의 시작점으로 여겨질 수 있다”며 “양 기관은 각 문화유산에 대한 특성 설명, 관련 자료, 다른 유산과 관계 등 유산과 관련된 정보의 디지털화를 준비해왔다”고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 이태희 연구관은 “문화유산과 첨단기술 분야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두 기관의 협력이 긴 호흡으로 지속돼 한국의 문화유산이라는 특화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AI기술과 활용 모델 개발에 이르는 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ETRI, 발명의 날 대통령 표창 수상
- ETRI 제안 ‘데이터 프레임워크 관리 인터페이스’, 신규 국제표준안 채택
- 의료AI·디지털 헬스케어 영역 노리는 사이버공격 ‘주의보’
- 정확도 99% 수준…ETRI, 화장품 고정밀 발림성 분석 시스템 개발
- ETRI, 광통신용 양자점 레이저 대량생산 기술 개발
- ETRI, 몽골 재난관리청과 재난관리 분야 기술 협력 ‘맞손’
- 중기부, DT·신산업 촉진 선제적 대응 ‘전략기획관’ 조직 신설
- 알리바바클라우드, 한양대와 디지털 인재 양성 ‘맞손’
- 카카오, OECD ‘中企 디지털화 지원 이니셔티브’ 회의서 상생사례 공유
- 네이버클라우드, 섬산련과 섬유지식정보 챗봇 서비스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