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영국 버밍엄에서 31일(현지시각)에 부산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의 친환경 선박 및 핵심기자재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영 국제공동 연구개발(R&D) 라운드테이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신기술을 활용해 지역의 혁신 사업이나 전략 산업을 육성하고자 규제 완화, 국제공동 R&D, 국내외 실증 및 해외 인증 등을 추진하는 혁신 클러스터다.
올해 4월 부산과 강원, 전남, 충북 등 4곳이 첫 지정됐다. 부산 특구는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 기술 및 녹색 해운 항로 실증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영국의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 주요 관계자 및 유럽 조선해양 전문가와 한국의 부산TP, 특구 기업이 참여해 암모니아 벙커링 기술, 선박 온실가스 솔루션 등 관련 기술에 대한 해외 공동 R&D 파트너를 매칭하고 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유럽-한국 조선해양전문가협회(EKMOA) 정병욱 회장 등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선해양전문가가 대거 참여해 친환경 선박 관련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실증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
영국에서 조선해양공학 분야 1위이자 글로벌 순위 7위인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의 연구진이 참여했으며 친환경 선박 등 기후테크에 특화된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과의 협업은 부산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와의 국제공동 R&D 파트너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행사 당일에는 특구기업 기술애로를 지원하기 위해 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 간 기술협력을 본격적으로 개시하는 ‘특구혁신기획단-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 LOI 체결식’도 열렸다. LOI를 계기로 특구 관련 영국 최신 기술 공유, 관련 전문가 매칭 및 기술 협력, 대학 등에 특구 사업자 교육 프로그램 신설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중기부는 “이번 행사는 중기부의 첫 번째 재외한인과학자협회 간 LOI 추진으로 부산 특구 기업 뿐 아니라 스타트업의 해외 기술지원 기반을 마련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산업부, 퀵스타트 사업 간담회…“지방 투자기업 인력난 해소 지원”
-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제도개선 위한 시행령 개정안 의결
- 중기부, 독일과 에너지 신산업·기후테크 기술 협력 확대
- 한·에스토니아, 의료데이터 활용 ‘맞손’…AI 헬스케어 육성 협력
- 규제자유특구 확대…글로벌 4곳 자유 5곳 확정
-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4단계 실증차, 송도·영종도 일대 시험운행
- 전력 신산업 미래 조망…2024 스마트그리드엑스포 개막
- KAIST, 대전 방산 특화 개발연구소 구축…“첨단 드론 연구 본격화”
- “산학연 연결 강화된 혁신성장 견인하는 클러스터 조성해야…”
- 중기부, 소상공인·자영업자 관계기관 워크숍…원스톱 플랫폼 추진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