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전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정부대전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영국 버밍엄에서 31일(현지시각)에 부산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의 친환경 선박 및 핵심기자재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영 국제공동 연구개발(R&D) 라운드테이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신기술을 활용해 지역의 혁신 사업이나 전략 산업을 육성하고자 규제 완화, 국제공동 R&D, 국내외 실증 및 해외 인증 등을 추진하는 혁신 클러스터다. 

올해 4월 부산과 강원, 전남, 충북 등 4곳이 첫 지정됐다. 부산 특구는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 기술 및 녹색 해운 항로 실증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영국의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 주요 관계자 및 유럽 조선해양 전문가와 한국의 부산TP, 특구 기업이 참여해 암모니아 벙커링 기술, 선박 온실가스 솔루션 등 관련 기술에 대한 해외 공동 R&D 파트너를 매칭하고 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유럽-한국 조선해양전문가협회(EKMOA) 정병욱 회장 등 유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선해양전문가가 대거 참여해 친환경 선박 관련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실증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

영국에서 조선해양공학 분야 1위이자 글로벌 순위 7위인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의 연구진이 참여했으며 친환경 선박 등 기후테크에 특화된 스트라스클라이드대학과의 협업은 부산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와의 국제공동 R&D 파트너쉽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행사 당일에는 특구기업 기술애로를 지원하기 위해 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 간 기술협력을 본격적으로 개시하는 ‘특구혁신기획단-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 LOI 체결식’도 열렸다. LOI를 계기로 특구 관련 영국 최신 기술 공유, 관련 전문가 매칭 및 기술 협력, 대학 등에 특구 사업자 교육 프로그램 신설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중기부는 “이번 행사는 중기부의 첫 번째 재외한인과학자협회 간 LOI 추진으로 부산 특구 기업 뿐 아니라 스타트업의 해외 기술지원 기반을 마련한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