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규제자유특구 제도개선을 위한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 관한 규제특례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을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밝혔다.
규제자유특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혁신사업 또는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메뉴판식 특례와 규제신속확인, 실증특례, 임시허가가 적용되는 구역이다.
2019년 첫 시행된 규제자유특구는 그간 비수도권 14개 시·도에 총 43개 특구를 지정했으며, 현재는 37개 특구가 운영 중이다.
이번 지역특구법 시행령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실증특례 및 임시허가 부결 시 이의신청 절차를 마련해 실증특례 및 임시허가를 신청하는 기업에 대한 권리구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규제부처의 법령정비 일정, 법령정비 계획 필요사항 등을 명시해 규제부처의 법령정비 이행력을 강화하도록 했다.
특구제도 안착화를 위해서는 실증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한 경우 소관 규제부처가 법령을 정비할 필요가 있는데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신속한 법령 정비 및 규제해소가 기대된다.
오영주 장관은 “규제자유특구는 다양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전략산업 및 혁신사업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이에 대한 성과로서 규제해소가 중요하다”며 “시행령 개정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 규제자유특구가 지역균형발전과 지역의 혁신적·전략적인 성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데스크칼럼] ‘창업 후진국’이라던 일본은 어떻게 환골탈태했나
-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네트워크 행사…규제 정비·지역기반 성장 모색
- 중기부, 독일과 에너지 신산업·기후테크 기술 협력 확대
- SKT, K-AI 얼라이언스 확대…“AI 동맹 강화한다”
- 국토부, 장거리·광역노선 자율주행 화물운송 본격 추진
- 국내 연구진, CXL-GPU 구조 기술 적용한 AI가속기 개발
- 로컬 혁신기업 육성…중기부, ‘강한소상공인’ 210개팀 선발
- “내 목소리 쓰지마”…곳곳에서 저작권 침해 사고, ‘AI 확산’ 시험대
- 경기혁신센터, 제22회 스타트업815 IR-연합 성료
- 중기부, 올해 종료 ‘제3차 규제자유특구’ 성과 제고 방안 논의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