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이 인공지능(AI) 기술이 제공하는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집중적으로 공론화한 결과를 공유했다. 대국민 설문조사는 6월12일부터 7월12일까지 한 달간 진행됐으며 765명의 국민이 참여했다.
8일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57%가 AI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답했다.
또 국민 55%는 안전한 AI 발전을 위해 규제보다 혁신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가장 중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34%의 국민들이 인공지능법 제정 및 윤리기준 마련을 꼽았다.
과기정통부는 동기간 동일한 주제로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도 진행했다. 총 66건의 제안이 접수됐으며 전문가 심사를 통해 14건을 선정했다. 14건의 정책 아이디어 중 대국민 온라인 투표(579명)와 관계부처 정책담당자 평가를 종합해 최종 시상자 6명을 선정했다.
8월과 9월에는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주제로 집중 공론화도 시작한다. 올해는 AI의 안전·신뢰·윤리 확보(6~7월), 디지털 접근성 제고(8~9월), AI 기반 첨단 조작기술(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 대응(10~11월), 비대면 진료의 안정적 시행(12~내년 1월) 순서로 한 주제씩 집중해 공론화를 추진하고 있다.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정립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라며 “국민들이 디지털 질서 정립 과정을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설문조사, 공모전, 토론회 등 다양한 소통 통로를 발굴하고 국민들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中企 100개 중견기업으로 키운다…정부 ‘점프업 프로그램’ 추진
- 카카오헬스케어, 연구협력네트워크 확대…17개 병원 참여
- 딥노이드, 베트남 의료AI 플랫폼 시장 공략 본격화
- GCP·포스코그룹, 제미나이 기반 뉴스·지식 검색 포털 구축
- 빅테크 2분기 실적에 주식시장 ‘패닉’…경기침체 불안 극복 실패
- 엔비디아에 드리우는 반독점법 규제
- AI 기반 부동산 세금계산 솔루션, 창업경진대회서 대상
- 에스넷그룹, AI센터 오픈…“인프라 구축·운영 등 맞춤 AI 구축 지원”
- IBM 왓슨x, 라마3.1 등 오픈소스 모델 지원
- 씨플랫폼, 사이버아크 총판계약…아이덴티티 보안 확산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