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NIA와 협업, 오픈랜 실증단지 조성
LTE 의존 없이 단독 5G 통화 서비스 지원
KT가 제주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글로벌센터에 5G 오픈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전했다. 이번 5G 오픈랜 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IA와 KT가 협력해 진행한 ‘오픈랜 실증단지 조성사업’의 결과물이다.
오픈랜 기술은 기지국 장비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파트를 분리하고 장비간 인터페이스 표준화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를 상호 연동할 수 있게 하는 개방형 통신 기술이다.
이번 5G 오픈랜 시스템은 고객 대상으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5G망에 오픈랜을 구축한 첫 번째 사례다.
오픈랜 실증을 위해 KT는 5G망에서 사용하고 있는 글로벌 장비 제조사인 노키아의 데이터 처리 장비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작업으로 국내 장비 제조사 쏠리드의 무선장비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연동했다. 또 LTE 의존성 없이 단독으로 5G 통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현됐다.
KT 네트워크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오픈랜 기술은 5G 어드밴스드는 물론 6G 진화의 근간이 될 것"이라며, "KT는 과기정통부, NIA와 적극 협력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오픈랜 기술을 주도하고 관련 생태계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일본 NTT도코모와 오픈랜 기술교류회를 5G 오픈랜 시스템이 구축된 제주 NIA 글로벌센터에서 개최하고, 글로벌 오픈랜 공급망 다양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KT는 2018년 국제 오픈랜 표준화 단체인 ‘O-RAN 얼라이언스’ 창립 멤버 가입을 시작으로 오픈랜 핵심 기술인 ‘멀티 벤더 오픈랜 무선장비 동시 연동’, ‘무선망 지능형 컨트롤러(RIC)’를 통한 기지국 전력 절감 기술을 확보하는 등 오픈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 ETRI, 정형기법 기반 IoT 보안 프로토콜 기술 고도화
- KT, 지상 5G-무궁화위성 6호 연결…“5G NTN 위성통신 기술 확보”
- NIA, 이음5G 수행기업 현장 간담회…“전담 기관으로서 지원 확대”
- 대세 자리한 5G…핸드셋 시장 점유율 첫 50% 돌파
- LGU+, 델테크놀로지스와 AI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 검증 완료
- LGU+, 금오공대와 오픈랜 가상화·지능화 기술 공동연구 ‘맞손’
- KT, 오픈랜 환경서 전력절감 기술 성능 검증 완료
- KT, 노키아와 6G 글로벌 연구 협력 본격화
- SKT, “글로벌 텔코 AI 협의체 활동 본격화”
- SKT, NTT도코모와 가상화 기지국(vRAN) 기술백서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