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기반 오픈랜·미래 서비스 개발 협업
6G 표준 제정·상용화 선도
KT와 노키아가 6G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6G 이동통신의 진화된 오픈랜 기술과 6G 후보 주파수를 이용한 초광대역 무선 접속 기술 등의 개발에서 긴밀하게 협업할 계획이다.
6G는 현재 글로벌 기술 표준단체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동통신 표준화 국제 협력기구(3GPP)에서 주파수, 비전, 프레임워크(구조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3GPP에서는 최근 총회에서 6G 상용 네트워크와 단말 개발에 필요한 표준규격(릴리즈21)을 2029년 내 완료할 예정으로 2030년부터는 6G 시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KT와 노키아는 협업을 통해 6G 기반 미래 서비스를 발굴하고 인프라 혁신을 이뤄낼 방침이다. 6G 이동통신의 표준 제정·상용화를 선도하고 6G 글로벌 리더십 강화에도 양사의 파트너십이 역할할 것으로 기대했다.
KT 네트워크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KT는 이번 노키아와의 6G 파트너쉽을 통해 미래의 클라우드, 인공지능(AI)과 직결된 이동통신 기술개발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리 키나슬라티 노키아 무선전략기술 부사장은 “세계 통신시장을 앞서 나가는 한국에서 KT와 함께 미래 기술에 대해 협력하게 돼 기쁘다”며, “6G 핵심기술과 AI 접목, 오픈랜 등의 차세대 통신 구조에 대한 공동 연구를 통해 KT와 노키아의 기술우위 확보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KT클라우드, “AX 시대 리딩…고객·파트너와 혁신 함께 하겠다”
- 구독서비스 비용 부담 완화…KT, ‘유튜브+스벅’ 구독팩 출시
- KT, 생성AI 기반 산업 안전 플랫폼 ‘올 인 세이프티’ 도입
- KT ‘우리가족대표’ 서비스 개편…업무 범위 확대
- 올바른 AI거버넌스 체계 확립…KT, ‘책임감 있는 AI센터’ 신설
- 6G 등 미래 주파수 확보 준비…과기정통부, WRC-27 준비단 발족
- ETRI, 6G 신호처리 속도 향상 기술 개발
- 韓·EU, 뉴로모픽·6G 등 차세대 반도체·통신 기술 공동연구 추진
- 정부, AI·6G 등 국가 표준화에 올해 2,271억원 투입
- SKT, 국내 양자 대표기업과 ‘맞손’…퀀텀 얼라이언스 설립한다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