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첫 도입, 추가 개소 3개 포함 12개 연구실 운영
카이스트(KAIST)가 7일 반도체·화학·전산 분야 ‘초세대 협업연구실’ 3곳을 추가 개소하고 현판식을 열었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은퇴를 앞둔 교수가 오랜 시간 축적해 온 학문의 성과·노하우를 후배 교수와 협업하며 이어가는 KAIST의 독자적인 연구제도다.
이날 현판식은 KAIST 이광형 총장과 이상엽 연구부총장 등 주요 보직자, 새롭게 선정된 연구실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7일 각 연구실에서 진행된다.
이날 개소한 연구실은 전기및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의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 화학과 김상규 교수의 ‘분자분광학 및 화학동역학 연구실’, 전산학부 문수복 교수의 ‘첨단 데이터 컴퓨팅 연구실’ 등이다.
전기·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의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에는 김주영 교수가 참여해 심층 신경망과 생성AI 등 뇌 모방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차세대 AI반도체 설계기술 개발을 위해 체계적으로 협업할 예정이다.
화학과 김상규 교수의 ‘분자분광학·화학동역학 연구실’은 김태규 교수가 참여하며 화학반응에 대한 양자역학적 이해를 통해 신물질 설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수복 교수의 ‘첨단 데이터 컴퓨팅 연구실’은 차미영·이원재 교수가 참여해 온라인상에서 감정과 도덕을 활용한 혐오 전조 탐지 모델 개발을 통해 혐오 표현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AIST는 2018년 도입 후 지난해 말까지 9개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날 추가 개소로 총 12개의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보유하게 됐다.
관련기사
- SK, “AI 혁신 청사진, 선도 기업과 협력모델 구축”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융복합 인재 키운다…서울 AI허브, 헬스케어·로봇 교육과정 성료
- 국내 연구진, 인간 인지방식 유사한 AI모델 개발
- “인공지능(AI)이 견인차”…3분기 반도체 시장 전년동기비 17% 성장
- LG전자, 美암바렐라와 협업…인캐빈 센싱 솔루션 고도화
- 색상 변화 여부로 건축물 노후화 진단 ‘OK’
- 코오롱베니트·리벨리온, 글로벌 AI NPU 시장 공략 ‘맞손’
- 올해 2분기 벤처투자 메가딜 늘었다…빅테크發 ‘투자 경쟁’이 견인
- 사피엔반도체, 美실리콘밸리에 사무소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