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스팸문자 최초 발송자를 차단하는 핀셋 제재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일반적인 스팸제재 정책은 문자중계사업자와 계약관계에 있는 문자재판매사업자의 스팸 유통량을 관리하는 형태였다. 스팸문자의 발송은 여러 단계의 문자재판매사업자를 통해 이뤄지는 구조로 최초 스팸문자 발송자 추적에 한계가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월부터 ‘거짓으로 표시된 전화번호로 인한 이용자의 피해 예방 등에 관한 고시’를 일부 개정해 대량문자를 최초로 발송하는 사업자에게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코드를 삽입해 문자를 발송하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해왔다.
문자재판매사업자는 최초 발송자일 경우에는 문자 발송할 때 부여받은 고유코드를 넣어서 발송해야만 한다.
KT는 “고유코드를 통한 핀셋 제재정책 시행으로 스팸문자 최초 발송자가 다수의 문자재판매사업자를 통해 스팸문자를 분산 발송해 제재를 회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KT는 문자중계사업자인만큼 여러 재판매사를 통해 배포되는 메시지라도 문자 최초 발신자의 고유코드를 식별할 수 있어 도박, 불법대출, 마약 등 의약품, 성인 등과 관련된 4대 악성 등 불법 스팸을 다량으로 유통하는 경우 해당 고유코드를 기준으로 모든 문자 발송을 차단하는 것이다.
가령 A사가 최초로 도박 관련 불법 스팸을 여러 단계의 재판매사를 통해 발송하면 문자중계사업자인 KT는 A사 고유코드가 포함된 메시지를 확인해 타 문자재판매사업자를 통해 발송되는 건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KT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해 9월 불법스팸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스팸 감축을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KT는 협약 내용을 기반으로 자율적인 제재강화 노력과 함께 관련 업계 및 정부와 긴밀히 공유해 스팸 차단을 강화할 예정이다.
KT 엔터프라이즈부문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 명제훈 상무는 “이번 스팸차단 핀셋정책 외에도 기술·제도적 측면에서 다양한 스팸 감축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며, “민관협의체 등을 통해 불법 스팸 대책 마련에 적극 참여하고 스팸으로부터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2023년 12월부터 원스트라이크아웃 정책을 통해 스팸발송 사업자를 영구 퇴출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1월부터는 AI클린메시징시스템을 개발, 수시로 변하는 스팸 유형에 대응하고 있다.
관련기사
- 스미싱 URL 변조 꼼수 막는다…LGU+, ‘악성 앱 분석 솔루션’ 도입
- KT, 보이스피싱 실시간 AI 알림 서비스 상용화
- 설 연휴 해킹 주의보…“사회적 이슈 다른 자극적 게시물 주의해야”
- SKT, 어린이 특화 스마트폰 ‘ZEM폰 포켓몬에디션3’ 출시
- 과기정통부·방통위,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구성
- AI가 스팸문자 차단…KT, ‘스팸 의심문자 알림 서비스’ 출시
- 국세청 등 정부 사칭 문자메시지 기승 ‘주의보’
- KT, KISA와 불법 스팸 차단 ‘맞손’…스팸 발신번호 탐지 기술 공유
- 위성통신 환경 단점 극복…KT, 5G NTN 기술시연 성공
- 정부·통신사·문자사업자, 불법 스팸 대응 현황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