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T]
[사진=KT]

KT가 KT 5G 유심망에 양자암호(QKD)와 양자내성암호(PQC)-VPN을 통합한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를 국내 최초로 적용한다고 26일 밝혔다.

5G 유심망은 유심 정보를 유심제조사에서 KT에 등록하거나 휴대폰 가입절차 등에 사용자 인증을 위해 유심정보 전달하는 망이다.

양자컴퓨터 등 기술의 발달할 경우 해당 망이 해킹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고 사용자 인증 정보 같은 주요 데이터가 복제돼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에 5G 유심망에 적용된 네트워크 구조는 QKD와 PQC-VPN이 융합된 새로운 하이브리드 구성으로 KT 외부(인터넷)와 내부(전용회선)를 모두 연결하는 양자암호 네트워크 구조다. 네트워크는 총 580km 전송 거리로 15개 노드가 KT내부망과 유심 제조사들을 연결한다.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는 유무선으로 구성된 다양한 환경에서도 양자컴퓨터에 의한 해킹을 수학적 알고리즘과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해킹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T는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적용으로 향후 양자컴퓨터에 의한 해킹위협까지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5G 유심망을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5G 유심망을 시작으로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적용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KT 네트워크부문 이종식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은 “자체 양자 보안기술 개발과 서비스 발굴 및 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국내 양자산업 시장 활성화와 미래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