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기업 양자보안 적용 통신망 기준 제시

LG유플러스와 NIA가 공동 제안한 광전송망 PQC 적용 표준안이 TTA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와 NIA가 공동 제안한 광전송망 PQC 적용 표준안이 TTA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공동으로 제안한 광전송망 양자내성암호(PQC) 적용방안에 대한 표준안이 국내 최초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표준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1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PQC)는 수학적 난제를 이용해 양자컴퓨터의 공격에도 견딜 수 있는 안전한 암호기술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부터는 양자보안 생태계 활성화 흐름에 따라 TTA가 양자통신 관련 표준화 제정을 위한 프로젝트그룹을 운영함에 따라 NIA와 함께 표준 제정 작업을 주도해왔다.

이번에 LG유플러스가 획득한 표준은 광종단장치(OTN), 광통신장비(ROADM) 등으로 구성하는 광전송망에서 PQC를 적용해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적 방안과 고려사항, 활용사례를 포함하고 있다. 

향후 PQC를 적용한 광전송망을 도입하고자 하는 국내 기관·기업이 양자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안전한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LG유플러스가 제시한 광전송망 프레임워크과 적용 방안을 참고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표준 채택이 양자암호통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PQC를 적용한 광전송망에 대한 표준이 제정된 것은 국내 통신업계 최초다.

LG유플러스는 앞서 지난 4월 PQC가 적용된 광통신장비(ROADM)의 TTA 보안기능시험에서 10G/100G 암호화 카드에 대한 보안기능확인서를 획득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 금융기관, 글로벌 기업의 양자보안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NIA는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한 광전송망에 대한 이 표준을 올해 구축하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에 적용할 예정이다.

노성주 LG유플러스 네트워크기술그룹장(상무)은 “이번 표준 획득을 통해 LG유플러스가 명실상부한 양자내성암호를 기반으로 한 양자보안 선두기업으로 인정받았다고 생각한다”며, “많은 고객이 빠르게 차세대 보안체계를 구축하도록 신기술 도입과 유스케이스 발굴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