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는 64kWh급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어 분산 예비전력설비로서의 활용성이 크다. 시간대/계절별로 다른 전기요금 체계에서 전기차에 효율적으로 충전-과금하는 기술과 배터리의 잉여전력을 사용-판매하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전기차 관련 전력서비스 특허출원은 2008년에는 연 3건에 불과했으나 2009년~2011년에는 연평균 36건, 2012년~2016년에는 연평균 18건으로 감소했다가 2017~2019년에는 연평균 31건으로 다시 늘었다.
이는 2009년 국산 전기차 최초 개발을 기점으로 전기차 관련 전력서비스에 관한 출원이 1차 활성화됐고 친환경 산업 정책에 따라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면서 2017년에 2차 활성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2007년~2019년까지의 특허출원인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중견기업(29.6%) ▲대기업·공기업(28.3%) ▲개인(22.1%) ▲대학·연구소(15.6%) ▲외국기업(4.2%) 순으로 국내 기업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같은 기간 출원을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배터리 충전 및 과금 기술(인증/충전상태표시/충전량산정·결제) 관련(73.6%) ▲전기차 배터리 잉여 전력을 충전소 또는 타 전기자동차에 판매·공유 관련(15.6%) ▲충전 부가서비스 제공(최적시간대/충전소제안/예약시스템/충전 앱) 관련(10.7%) 순이다.
특허청 임영희 전기심사과장은 “전기차 관련 전력서비스 시장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비지니스 모델과 제품을 연계한 특허전략의 수립과 지식재산권(IP)의 조기 확보를 통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