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 준비, 가전·TV·전장부품 개발에 순차 적용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Eng.AI)을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Eng.AI)을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완성된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보다 최대 99%까지 단축할 수 있는 AI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LG전자는 이 기술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반복되는 검증시간을 줄여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생산 효율성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에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매번 약 3~8시간이 소요됐으나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

LG전자는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업무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추후 웹 기반의 서비스 플랫폼(Engineering AI, Eng.AI)도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유사한 딥러닝(DL) 알고리즘 기반의 AI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AI의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하고 메모리 사용량은 1/10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는 15% 이상 개선했다”고 강조했다.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것도 LG전자는 이 기술의 장점으로 꼽았다.

제품 개발자들의 편의성도 높였다. 이 기술은 3D 도면 정보만 입력하면 오차를 줄이기 위해 도면 좌표를 기준에 맞춰 정밀하게 정렬하는 등 별도의 과정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품질 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입력된 데이터를 압축·경량화하는 기술도 적용했다.

LG전자는 이 AI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냉장고·세탁기 등 생활 가전과 TV, 차량용 제품 등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할 계획이다.

향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될 전망이다. 올해 생산기술원이 LG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주 규모는 전년비 30% 이상 증가한 4천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고객군을 가전 산업뿐만 아니라 반도체·제약·화학 산업군 등으로 확대하며 203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을 외판 매출액 조 단위 이상의 사업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LG전자는 앞서 지난해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찬영 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AI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학회인 ‘국제머신러닝학회’에 관련 논문을 제출해 학술적으로도 기술 검증을 받을 계획이다.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정대화 사장은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생산기술원에서는 스마트팩토리 전 단계에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의 단축은 물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