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플라스’ 참가, 올해 유럽·북미 등 핵심 시장 진출
LG전자가 B2B 신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LG퓨로텍(PuroTec)’을 글로벌 시장에 공개하며 B2B 고객사 확보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중국 광둥성 선전에서 15일(현지시간) 개막한 아시아 최대 규모 산업 소재 전시회로 ‘차이나플라스(Chinaplas) 2025’에 퓨로텍을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전세계 150여개국, 4천여개 업체가 참가한 차이나플라스는 플라스틱·고무 등 다양한 산업에 쓰이는 주요 소재 신기술을 소개하며 미국 NPE(National Plastics Exposition), 독일 K-SHOW와 함께 글로벌 3대 산업 소재 전시회로 꼽힌다.
LG전자는 차이나플라스에서 B2B 고객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퓨로텍 제품들을 소개하고 이들이 가전·건축자재·의료기기·의류 등 퓨로텍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부스를 조성했다.
LG전자는 “플라스틱·페인트·고무 등 소재를 만들 때 첨가하면 미생물에 의한 악취·오염·변색 등을 막는 항균·항곰팡이 효과를 내는 퓨로텍은 적은 양으로도 높은 항균 성능을 낼 수 있어 경제적이며 플라스틱·섬유 등 다른 소재에 섞어 사용도 가능해 범용성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
LG전자는 10월에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뒤셀도르프에 열리는 K-SHOW에서 퓨로텍을 선보이며 유럽·북미 등 글로벌 공략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신소재인 유리 파우더 연구와 이를 가전제품에 적용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퓨로텍을 B2B 신사업으로 육성 중이다. 2023년 퓨로텍을 선보인 뒤 중국·베트남·인도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해 왔다.
LG전자는 2006년부터 유리 파우더 관련 특허를 꾸준히 출원해 현재 약 420건을 확보했고 항균, 항곰팡이 등 기능을 각기 다른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했다.
경남 창원 스마트파크에는 연간 4,500톤 규모의 생산 설비를 갖췄고 신소재 사업 분야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주주총회에서는 고성장하는 기능성 소재사업을 빠르게 육성할 계획도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 추정하는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기준 약 18조원으로 포장·의료·건축자재 등 활용 범위가 넓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LG전자 키친솔루션사업부장 백승태 부사장은 “글로벌 B2B 고객사의 니즈에 맞춰 다양한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지속 개발해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기차(EV) 배터리셀 열폭주 방지…자동진압 기술 나왔다
- 국내 연구진, 빛 세기에 투명도 변하는 투명필름 개발
- 산업부, 5개 분야 첨단소재 데이터 사업 신규 과제 추진
- SK케미칼, RIST와 스마트 안전분야 연구·기술 협력 ‘맞손’
- LG전자, 항균 기능성 소재 ‘퓨로텍’ 스마트 양식에 적용
- 현대모비스, ‘신기술 성과공유회’서 모듈 분야 R&D 성과 공개
- 로봇사업 확대하는 LG전자…“배송·물류 영역으로 B2B 사업 확장”
- 현대모비스, UV 광촉매 방식 내장형 공기 살균 시스템 개발
- 신한카드, 폐플라스틱 재활용 카드 플레이트 도입
- 삼성, 비대면 주문-결제 키오스크 솔루션 출시…항균 터치스크린 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