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최근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피싱·스미싱 공격 시도가 발생하고 있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등의 내용으로 속여 외부 피싱 사이트 접속을 유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사례를 확인하고 긴급 보안 공지했다.
이번에 발견된 사례는 일반 국민이 검색 엔진에 ‘유심 무상 교체’, ‘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키워드를 입력하면 언론 보도 일부를 발췌·삽입한 검색 결과가 노출되고 검색 결과를 클릭하면 중간 경유용 비영리 도메인을 경유해 최종적으로 도박사이트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과기정통부는 “피싱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사이버공격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피해 예방을 위해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사이트의 주소가 정상 사이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접속은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만일 피싱 사이트로 접속했다면 절대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악성 앱 등을 설치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아울러 유심 무상 교체 등을 사칭한 피싱·스미싱 공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유사한 피싱 사이트를 신속하게 탐지해 차단 중이며, 집중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유사시 사고 대응을 위한 대비를 강화하고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관련기사
- SKT, 28일 유심 무료 교체 시작…재고 부족으로 일시적 혼란 예상
- 대규모 해킹 사고 후폭풍…SKT “유심 무료 교체” 결정
- 2년 만에 통신사 대규모 해킹 ‘충격’…SKT ‘고객정보’ 털렸다
- SKT·경찰청, 4개월 간 악성앱 차단으로 1,070억원 피해 예방 성과
- KT, 보이스피싱 탐지서비스 상용화 2개월…총 160억원 규모 피해 예방
- “지난해 인공지능(AI) 활용한 보이스피싱 442% 늘었다”
- 韓, 아태지역 멀웨어 감염 영향 국가 13위…“연간 사고 1,600만건”
- 스미싱 URL 변조 꼼수 막는다…LGU+, ‘악성 앱 분석 솔루션’ 도입
- LGU+, 어르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교육
- 대형 보안사고 후폭풍…경찰, ‘SKT 유심 해킹’ 정식 수사로 전환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