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와 협력, 이달 금융권에도 기술 적용
KT가 올해 1월22일 출시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서비스의 상용화 후 2개월 간의 운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서비스 개시 이후 ‘주의’ 및 ‘위험’ 등급으로 탐지된 보이스피싱 통화 중 확인이 가능한 1,528건을 분석한 결과 탐지 정확도는 90.3%에 달했다.
특히 이 중 392건(25%)은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 또는 검찰·경찰 사칭사례로 확인돼 알림 기능이 실질적인 피해 예방에 효과적임을 입증했다고 KT는 밝혔다.
KT는 정부가 발표한 2024년 보이스피싱 건당 평균 피해액 약 4,100만원을 기준으로 환산 시, 약 160억원 규모의 피해 예방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요금 청구나 수납 관련 정상 통화에서 오탐 사례가 일부 발생했다. KT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AI 엔진 고도화와 화이트리스트 업데이트를 통해 상반기 내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KT는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자체 개발한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과 경찰이 확보한 악성 앱 설치 URL을 연계해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를 차단하는 데도 기여했다.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서울경찰청에 제공했고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피해자와 직접 연락하거나 대면 접촉하여 실제 피해를 사전에 방지했다.
KT는 “이 과정에서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대상으로 계좌 지급정지 조치가 이뤄졌고, 검찰 사칭 피싱범에게 수표 1억원을 전달하려던 피해자 역시 대면 차단을 통해 피해를 막는 등 2024년 2월~3월 두 달간 총 20억1000만원 규모의 피해가 예방됐다”고 설명했다.
KT는 성과를 바탕으로 이달부터 케이뱅크와 협력해 금융권 최초로 AI 기반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출금 정지 등 직접적인 금융사기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 서비스는 케이뱅크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과 연동돼 고객이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전화를 받으면 실시간 탐지 정보를 케이뱅크에 제공하게 된다.
KT AX혁신지원본부장 이병무 상무는 “KT의 AI기술이 실제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하고 있어 고무적”이라며,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가능한 후후 앱을 통해 더 많은 국민들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제2회 미래국방 전략포럼…양자 기술 활용안 논의
- “지난해 인공지능(AI) 활용한 보이스피싱 442% 늘었다”
- AWS, CSAP 인증 획득…국내 공공시장 공략 발판 마련
- LGU+ AI에이전트 ‘익시오’, 중동 수출길 열렸다
- KT, 보이스피싱 실시간 AI 알림 서비스 상용화
- LGU+ 통화비서 ‘익시오’, 아이폰12 이상으로 적용 단말 확대
- 과기정통부, 실시간 보이스피싱 방지 기술 등 규제특례 신규 지정
- LGU+, 어르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교육
- SKT, 취약계층 2천명 대상 ‘AI콜 금융범죄 예방 교육’ 추진
- KB리브모바일, 보이스피싱·중고거래 사기 예방 신규 요금제 2종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