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산업 환경이 급변하면서 PLM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과 인공지능(AI)의 융합·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향후 주목해야 할 기술 트렌드를 조망하는 ‘PLM/DX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5’가 이달 20일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E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21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CDE학회, 캐드앤그래픽스가 공동 주최하고 PLM 기술위원회 주관으로 개최되며 PLM 기반의 디지털전환 및 제조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DX/AX의 최신 트렌드를 집중 조망할 예정이다.
특히 신설된 SDM(MES/MOM) 트랙을 통해 자율 제조와 스마트 팩토리의 전략까지 아우르며 행사 범위를 한층 확장했다.
가천대학교 조영임 교수는 ‘제조 산업의 미래, 산업 AI 트렌드와 과제’를 주제로 AI기술 발전과 함께 변화하는 제조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전략, 인프라,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한다.
SAP코리아 고건 파트너는 ‘AI 혁신을 기회로! 제조 경쟁력을 높이는 통합형 PLM 전략’을 주제로 SAP PLM의 성공사례를, HD현대 이태진 전무는 ‘조선업의 미래를 위한 차세대 설계/생산 통합 플랫폼’을 통해 3D CAD와 PLM을 기반으로 한 미래형 조선소 구현 방향을 각각 공유한다.
오후 세션에서는 PLM/DX 기반의 실질적 성과와 기술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3개 전문 트랙이 마련된다. 각 트랙에서는 국내외 선도 기업과 연구자의 발표를 통해 디지털 혁신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베스트 프랙티스 트랙에서 GM테크니컬센터코리아 김성진 부장이 ‘PLM 기반 Single BOM 구현을 통한 자동차 산업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주제로, 아비바코리아 조영찬 프로는 ‘디지털 자산 수명주기의 혁신: 아비바(AVEVA)와 아라스(Aras) 기반의 통합 ALM 전략’을 주제로 각각 발표자로 나선다.
카이스트(KAIST) 윤희택 교수는 ‘AI 자율 제조를 위한 로봇 기술 동향과 사이버물리 시스템 적용사례’를 주제로 제조업 위기 상황 속에서 주목받고 있는 자율 제조를 위한 로봇과 AI, 디지털트윈을 융합한 사이버 물리 동향 및 진행 중인 연구 내용을 소개한다.
트렌드 및 신기술 트랙에는 다쏘시스템코리아 김병균 파트너가 PLM에 생성형 경험(Generative Experience) 및 AI기술을 적용해 제품 개발과 설계, 생산 전 과정에서 업무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측 및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팀솔루션 김지인 대표도 ‘현장이 원하는 디지털 트윈: 최소 인프라, 최대 효과를 위한 접근법’을 주제로 3D CAD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산업 콘텐츠를 제작해 실제 제조 현장의 작업 매뉴얼과 교육 콘텐츠로 적용한 사례를 공유한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PLM 기술위원회 서효원 위원장(KAIST 명예교수)는 “올해 컨퍼런스는 제조의 미래를 위한 PLM 혁신과 AX 전략을 중심으로 제조 엔지니어링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제조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혁신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엔비디아, 사우디 휴메인과 미래형 AI팩토리 구축한다
- 이에이트, 웹 기반 3D 그래픽스 솔루션 ‘NDX뷰어’ 개발
- 네이버, 국토지리정보원과 공간정보 산업 DT ‘맞손’
- OT 겨냥 사이버위협 대응 강화…로크웰, 보안 모니터링 서비스 출시
- 중소·중견기업 ‘스마트공장’ 도입률 19.5%…제조AI 도입률은 0.1% 수준
- 슈나이더, ‘2025 바이오포럼 코리아’서 DX 가속화 인사이트 공유
- 지멘스, ‘하노버메세’서 혁신 기술·파트너십 공개
- 지멘스, 알테어 인수 완료…산업용 SW 제품군 확장
- 애플, 美텍사스주에 AI서버 공장 설립한다
- 슈나이더, 내달 ‘AW 2025’서 인더스트리 5.0 통합 자동화 솔루션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