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 승인 획득으로 전세계 70개 시장서 사용 가능
삼성전자가 갤럭시워치 시리즈를 활용해 개발한 ‘수면 무호흡 기능(Sleep Apnea feature)’이 유럽 CE 승인을 획득했다.
‘유럽 적합성’을 뜻하는 CE(Conformité Européenne)는 제품이 유럽연합(EU)의 건강, 안전, 환경 보호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된 필수 요구 사항을 준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인증이다.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증상으로 혈액 내 산소 공급을 저해해 수면 질을 떨어뜨리고 피로를 유발한다. 방치하면 고혈압, 심부전, 부정맥,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수면 무호흡 기능은 삼성 갤럭시워치 및 호환되는 스마트폰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SW) 기반의 일반의약품(OTC) 모바일 의료 앱으로, 수면 무호흡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사용자가 수면 건강 이상을 빠르게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기능은 갤럭시워치의 바이오 액티브 센서를 통해 수면 중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산소포화도 값이 무호흡·저호흡으로 변화되는 패턴을 분석해 수면 중 무호흡·저호흡 지수(AHI)의 추정치를 계산해 증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수면 무호흡 기능은 만 22세 이상의 성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10일의 기간 내 최소 4시간 이상 수면한 2일의 수면 데이터를 측정해 중등도-중증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징후를 감지한다.
한편, 갤럭시워치의 수면 무호흡 기능은 2023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의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 허가에 이어 2024년 미국 FDA의 드 노보(De Novo)와 캐나다 보건부(HC) 승인, 2025년 브라질 식의약품 감시국(ANVISA), 호주 식약처(TGA) 및 싱가폴 식약처(HSA)의 의료기기 승인을 획득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CE 승인으로 유럽 34개 지역뿐 아니라 호주 및 캐나다 등에서도 승인을 획득함에 따라 수면 무호흡 기능은 총 70개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관련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ETRI·KT텔레캅, 안전조치용 웨어러블 장치 복합측위 사업화 협력
- 정부, 국비 250억원 투입 ‘소형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본격화
- 애플워치, 지난해 출하량 20% 감소…5개 분기 역성장
- 이동통신 단말 개척자 ‘모토로라’…실적 개선으로 ‘권토중래’ 노린다
- 지난해 국내 웨어러블 출하량 849만대…3년 연속 ‘역성장’
- 최근 4년 간 KAIST 출신 스타트업 상장사 20곳…기업가치 10조원 돌파
- 국내 연구진, 체온으로 전기 에너지 생산 ‘인공피부’ 소재 개발
- 뷰노, 심전도 측정 의료기기 ‘하티브 P30’ 유럽 CE MDR 인증
- 中, 인도 제치고 세계 최대 스마트워치 시장으로 부상
- LGU+, ‘익시오’ 업데이트…갤럭시S21 이상 지원 단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