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워크숍 성료, 준법시스템 평가지표 도입
카카오 계열사의 준법·신뢰 경영을 지원하는 독립기구인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는 카카오 협약 계열사를 대상으로 준법 시스템 평가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12일 카카오에 따르면, 준신위는 전날(11일) 경기 용인시 소재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워크숍을 열고 6개 협약 계열사(카카오/카카오게임즈/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뱅크/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페이)를 대상으로 준법 시스템 평가와 준법 지원인 교육을 진행했다.
준법 시스템 평가 지표는 준신위가 플랫폼 기업의 특성을 반영해 자체 개발한 16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공동체 및 최고 경영진 리스크 예방 ▲컴플라이언스 관리 및 평가 ▲카카오그룹의 책임 경영 정책 이행 등 준법·신뢰경영의 핵심 요소를 평가한다.
준신위는 이번 평가 결과의 시사점으로 ▲컴플라이언스 관련 업무 절차의 매뉴얼화 ▲대규모 지분 투자 등에 대한 협약사 별 구체화 된 기준 마련 ▲독립기구 권고 의견 반영 확인 프로세스 정립 등을 제시하고 각 협약 계열사별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공유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이승규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가 준법지원인을 대상으로 ‘내부고발과 제보 조사 절차 및 유의사항’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각 계열사의 준법 시스템 담당자들은 강연 후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준법 의무 수행 시 주의해야할 부분에 대해 토론했다.
김소영 위원장은 “2025년 상반기는 준법시스템 평가를 실시하고 감사 및 투자 관련 준칙을 실행하는 유의미한 시간이었다”며, “카카오와 협약 계열사들이 지속적으로 준법·신뢰경영을 해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우리은행, 오픈API 플랫폼 ‘이음’ 개방…BaaS 사업 본격화 시동
- 애플, 운영체제(OS)에 반투명 디자인 도입…12년 만에 대대적 개편
- 네이버, 실리콘밸리에 신설 투자법인 ‘네이버벤처스’ 설립한다
- 네이버 “애드부스트는 광고 운영·성과 최적화 돕는 AI에이전트”
- 네이버 자율규제위, 정기회의서 대선기간 서비스 운영정책 논의
- 카카오, 콘텐츠CIC 분사…출범 2년만에 별도 법인 독립
- 최근 5년 간 금융권 전상장애 1,763건…피해금액은 295억원
- NIA, 2025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컨트리뷰션 개최
- 카카오, 통합 멀티모달 언어모델 ‘카나나-o(Kanana-o’) 성능 공개
- 포털 ‘다음’, 콘텐츠 큐레이션 기능 강화…모바일 앱 2차 업데이트 단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