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LM·ML 기반 ‘AI로 내 건강 관리하기’ 첫 선
카카오페이가 17일 생성AI 기반 상담봇 채널인 ‘페이아이’ 첫 번째 서비스인 ‘AI로 내 건강 관리하기’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페이아이는 경량언어모델(sLLM)과 머신러닝(ML)을 기반으로 구현된 생성AI 기반 상담봇 서비스다.
카카오페이는 “페이아이에 적용된 sLLM을 보다 정교화하기 위해 베타 서비스 운영 및 고도화 작업을 통해 실생활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AI 상담 서비스를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기반해 개인 맞춤형 건강 및 보험 상담을 제공하는데, 사용자가 카카오페이에 보험 마이데이터를 연동하면 3년 내 최근 2년의 건강보험관리공단 건강검진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사용자가 취약할 수 있는 질병을 예측·제공하고 건강 관련 상담을 진행한다.
가령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복혈당 수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되면 이와 관련될 수 있는 건강 리스크를 사용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관리 방법과 식단 등을 추천해 주는 식이다.
또 사용자가 가입한 보험의 분석을 요청하면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질환에 대한 사용자의 현재 보험 보장 상태를 분석하고 비슷한 연령대의 사용자 그룹의 평균 보장 금액 등을 비교해 안내해 준다. 이외에도 평소 알기 어려웠던 건강·보험 용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카카오페이는 “생성AI를 기반으로 건강 및 보험 상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을 주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뒀다”며, “사용자 피드백에 집중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한편, 추후 페이아이의 적용 범위를 넓혀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S2W, 인터폴 연례 컨퍼런스서 AI 활용 수사 효율화 방안 공유
- 과기정통부, 국민체감형 혁신 프로젝트 사업 수행기업 공모
- KT·팔란티어, AX촉진 ‘맞손’…B2B 시장 맞춤형 전략 논의
- “AI시대 검색 지평 넓힌다”…네이버, 통합 에이전트로 단계별 확장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계가 새 정부에 전하는 ‘말·말·말’
- 엔씨AI 이연수 “게임 산업계서 AI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
- 우리은행, 오픈API 플랫폼 ‘이음’ 개방…BaaS 사업 본격화 시동
- 올해 금융산업 주요 키워드는 ‘망분리’·‘제4인터넷은행’·‘마이데이터’
- 네이버페이, 위챗페이와 연동 QR결제 서비스 시작한다
- 카카오페이·제주항공, 결제시스템 개선 등 장기적 협력 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