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설문조사, 시너지 효과 기대 산업은 ‘반도체’·‘AI’·‘자동차’
국내 기업 절반 이상은 한일 경제협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앞으로도 지속돼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달 22일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실시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경제협력 설문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협 조사에 따르면, 국내기업 과반(56.4%)은 국교 정상화 이후 60년간 이어진 양국 간 경제협력이 한국 경제 발전을 촉진(매우 촉진 7.9%+다소 촉진 48.5%)했다고 평가했다.
기업들은 경제 발전에 기여한 협력 분야(1·2순위 선택)로 ▲기술 이전 및 협력(53점) ▲일본 진출을 통한 시장 확대(35점) ▲관광·문화 산업 발전(29점) ▲소재·부품·장비 등 공급망 안정화(27점) 등을 꼽았다.
국내기업 10곳 중 6곳(62.4%)은 한국 경제 성장을 위해 앞으로 한일 경제협력이 필요(매우 필요 20.8%+다소 필요 41.6%)하다고 응답했다. 협력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3.0%(매우 불필요 0%+다소 불필요 3.0%)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88.1%는 경제협력을 위해 안정적인 한일 관계가 중요(매우 중요 27.7%+다소 중요 60.4%)하다고 답변했다.
한경협은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기업들의 공감대를 확인했다”며, “생산적인 협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양국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들은 한일 양국이 최근 전략적 가치가 커지고 있는 첨단산업 분야에서 협력했을 때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양국이 공통으로 직면한 저출생·고령화 대응을 위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역시 유망 협력 분야로 꼽혔다.
일본과 협력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산업(1·2순위 선택)으로 기업들은 반도체(91점)와 AI(57점)를 꼽았다. 이어 ▲자동차(39점) ▲바이오·헬스케어(32점) ▲조선·배터리(각 26점) 순으로 시너지가 기대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국내기업들은 보호무역주의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69점)을 가장 필요한 한일 경제협력(1·2순위 선택) 방식으로 꼽았다.
한경협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이번 설문결과는 기업들이 통상 리스크에 대한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공동 연구 및 인재 육성 등 R&D 협력(52점) ▲정상급 교류 확대(46점) ▲제3국 공동 진출(36점) 등에 대한 필요성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현재 일본과 개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61개 사) 10곳 중 4곳(42.7%)은 일본과의 협력이 비즈니스에 중요하다고 응답(매우 중요 6.6%+중요한 편 36.1%)했다. 협력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각각 16.4%, 1.6%로 집계됐다.
일본과 협력 중인 국내기업 2곳 중 1곳(49.2%)은 일본과의 협력을 다른 국가로 대체하기 어렵거나 대체에 3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국가로 대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기업이 21.3% ▲3년 이상 소요된다는 기업이 27.9%이었고, ▲대체적으로 1~3년 소요된다는 기업은 26.2%로 나타났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국제정세와 통상 질서 재편 속에서 한일 경제협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며,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는 양국 협력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조사를 통해 한일 경제협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높은 수요를 확인했다”며, “한경협은 첨단 산업 등 유망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우리 기업들의 경제 영토 확장을 적극 지원하고, 일본 측 파트너인 일본경제단체연합회와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보호무역주의 등 급변한 통상환경…“민·관 협력, 전략적 대응 나설 때”
- 제조기업 80% 이상 “내외부 압력으로 DT 추진 가속화”
- 통상교섭실장, OECD 각료이사회 참석…공급망 등 국제 공조 협력
- 美 관세 불확실성에 스마트폰 시장도 ‘먹구름’
- “새로운 정부 탄생, 대한민국 반등의 기회로 삼아야”
- “해킹 공격은 혼란이 목적…민·관 협력과 국제적 연대로 대응해야”
- 정부, K-온디바이스AI 반도체 개발에 1조원 투입
-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에 도입·확산되는 AI…패러다임 전환 ‘핵심 키’
- 美, 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韓·美 윈윈 협상안 마련해야
- 새 정부 허니문 랠리 기대감에 찬물…미국-이란 전면전 ‘화약고’ 터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