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 SAT은 18일 충남 금산위성센터 개국 50주년을 맞아 ‘비전 선포식’을 갖고 이르면 2024년, 늦어도 2025년 무궁화위성 6A호를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궁화위성 6A호는 무궁화위성 6호의 승계 위성으로 6호와 동일한 궤도인 동경 116도에 올려진다.
2010년 발사한 무궁화위성 6호는 2025년 수명이 끝난다. 사측은 올해 안에 무궁화위성 6A호의 탑재체와 적용 기술을 확정하고 내년께 위성제작을 시작할 계획이다.
KT SAT은 6A호부터 위성을 통해서도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성과 5G 연동 기술이 상용화되면 지상망 구축이 어려운 해외지역, 자동차와 같은 이동체에서도 끊김 없는 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재난 상황으로 지상의 5G 연결이 끊겼을 때 인공위성으로 5G망 연결을 대체할 수 있다.
KT SAT은 무궁화위성 6A호에 우선 데이터 전송 처리량을 기존보다 10배 이상 늘린 대용량 위성(HTS) 기술을 적용하고, 발사 후에도 커버리지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빔 기술을 탑재할 예정이다.
특히 위성과 5G 연동 연구를 위해 하반기부터 금산위성센터 테스트베드에서 한-EU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내년 5월에는 프랑스오픈 테니스 행사에서 위성 5G를 통해 영상을 송출하는 장면을 시연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향후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위성 기반의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위성 중계 서비스에 집중해왔던 기존 전략에서 해양·우주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강점을 살린 플랫폼 구축에 힘쓰겠다는 설명이다.
KT SAT은 해양위성통신(MVSAT) 시장에서 연평균 20% 성장하며 국내 상선 시장의 70% 이상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선박용 인터넷, 이메일, CCTV, 선박 운항 관리 등의 ‘해양 통합 플랫폼’을 내년 상반기에 출시 할 계획이다.
해양 통합 플랫폼이 구축되면 MVSAT과 결합한 모든 솔루션을 하나의 서버에 구축해 고객이 원할 때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송경민 KT SAT 대표는 “뉴 스페이스 시대의 도래로 끊김 없는 네트워크 제공을 위한 위성 통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플랫폼 위성 사업자로의 전환과 정부의 우주 프로젝트 적극 참여를 통해 앞으로의 50년 위성 산업을 견인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