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NIA]
2025년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2025년 지능정보화 컨설팅 착수보고회’를 열고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지능정보화 컨설팅은 사회기반시설 및 정보화 사업에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 기술을 적용해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07년 첫 시작됐다.

전날(24일) 열린 이번 보고회는 연초부터 수요조사 및 후보과제 평가를 통해 선정된 3개 기관(헌법재판소/국가인권위원회/한국산업인력공단)의 과제를 본격 추진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으며 수행기관과 각 주관기관이 모여 향후 사업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헌법재판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모델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은 사건 요약, 연관 판례 추천 등 재판 과정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발굴하고 AI시대에 발맞춰 AI 기반의 맞춤형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기 위한 사업이다.

국가인권위원회의 지능형 기반 사건 지원시스템 구축 ISP 수립 사업은 법령, 결정례 등에 대한 지능형 기반의 인권 데이터베이스 인프라를 마련하고 업무혁신을 위한 지능형 기반 사건지원시스템을 구축하며 대국민 국가 인권 소통 통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의 국가자격 채점 업무 디지털전환을 위한 ISP 수립 사업은 국가자격시험 컴퓨터시험(CBT) 전환 확대 방향에 따라 기존 업무방식을 디지털 채점업무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컨설팅 사업이다. 

특히 답안지 인수부터 합격자발표까지 일련의 채점 업무 전반을 디지털화 해 운영할 수 있는 AI 기반의 채점 업무환경 구축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목표다.

NIA는 각 기관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또 체계적인 성과 관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각 기관의 지능정보화 전략이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전 과정에 걸친 전문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이날 보고회에서 “NIA의 축적된 전문성과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바탕으로 지능정보화 컨설팅 사업을 통해 공공서비스 분야 전반에 지능정보 기술이 성공적으로 확산됨으로써 행정 효율성 증대와 국민 편익 제고가 도모될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