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장관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를 방문해 AI시대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에 대한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지난 4월 발생한 SK텔레콤 침해사고로 많은 국민이 불편을 겪은 후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생성AI 등장 이후 AI가 국민 일상과 산업 전반에서 가치와 혁신을 창출하고 있으나 AI 발전과 함께 사이버위협 또한 빠르게 진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빈틈없는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인터넷침해대응센터를 중심으로 사이버위협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하고 있으며 관계기관과 통신사,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들과 상시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 침해대응 시스템에 AI를 적극 도입해 사이버위협에 대한 탐지 역량을 강화하고 사이버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 시 신속한 신고접수 및 기술지원을 통해 사이버공격 긴급차단, 확산 방지 및 심도 있는 기술지원을 통해 피해기업의 신속한 회복과 침해사고 재발방지도 지원하고 있다.
배경훈 장관은 주말에도 24시간 사이버위협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하고 있는 관계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최근 국내 해킹사고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사이버보안 역량이 확보되지 않은 AI시대는 우리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내달 1일 트럼프 관세 부과 여부에 ‘촉각’…韓 최종 담판까지 D-4
-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트 2025’ 성료…실시간 IT자동화 전략 공유
- 로그프레소 “개방형 XDR 특허 획득으로 고도화된 위협탐지 구현”
- “AI시스템 자체가 표적”…AI로 자동화한 사이버공격 확대 ‘주의보’
- “AI 인식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구축해야”
- KT, 정보보호 분야에 1조원 이상 투자…“고객 신뢰 최우선”
- 윈도우 ‘CLFS’ 드라이버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주의보’
- 포렌식 분석·정확성 갖추려면…“단일 툴 의존에서 벗어나야”
- 엘앤에프, 보안 거버넌스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 국제해킹방어대회 ‘코드게이트 2025’, 이달 10일 코엑스에서 개막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