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보고서, 수익 모델·기술·정책 아우른 통합 전략 필요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개인형 이동장치)가 도시 내 단거리 이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며 대여·반납의 편의성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국내 기업들은 제한적인 수익 구조와 변동성 높은 이용률, 기술·인프라 투자 비용 부담으로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30일 삼정KPMG는 보고서(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 재도약을 위한 전략적 방향)를 발간하고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수익성과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해 수익 모델·기술·정책을 아우르는 통합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은 공유경제 확산과 도시화, 교통혼잡 심화에 따른 단거리 이동 수요 증가로 성장 기반을 확보했다. 하드웨어 성능 고도화와 배터리 효율 향상 등 기술 발전이 이용 편의성을 높였고 벤처캐피털(VC) 투자 확대를 통해 운영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시장 성장이 가속화됐다.
미국 버드(Bird)의 서비스 개시 이후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 등 다양한 서비스가 대중화됐으며 국내에서는 2018년 올룰로(olulo)를 시작으로 라임(Lime), 빔(Beam) 등 글로벌 기업이 진출해 2021년 말 기준 약 20여개 기업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최근 국내 시장에서는 도심 중심의 치열한 경쟁과 규제 리스크 확대에 따라 일부 기업이 사업을 철수하거나 중단했다. 2025년 현재 지바이크, 더스윙, 피유엠피, 빔모빌리티코리아, 카카오모빌리티, 쏘카 등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이 중 지바이크, 더스윙은 운영 효율화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보고서는 시장 외형 확대 전망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기업들이 B2C 중심 내수 시장 한계와 수익성 양극화 우려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요금 기반의 수익 모델은 가격 경쟁 심화와 가격 인상 한계를 보이며, 안전모 착용 의무화와 주정차 단속 강화 등 규제 요인이 이용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정비·충전 인프라 확충과 기술 고도화로 투자 비용이 증가하고 기기·인프라 운영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 모델 다각화 ▲수요 잠재력 중심 서비스 지역 확장 ▲협업 모델 강화로 운영 효율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플랫폼 운영 기술을 활용해 음식 배달, 미디어 스트리밍, 택시 호출 등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플랫폼으로 확대하거나 기존 보유한 플랫폼을 공급 또는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데이터 판매 및 분석 서비스를 통한 플랫폼형 수익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대중교통 환승 연계, 관광지·대학가 등 ‘퍼스트/라스트 마일’ 거점 중심의 서비스 확장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수요 잠재력을 확보하고 규제가 유연하고 혁신적 교통 실험이 가능한 지역을 선제 공략하는 전략도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파트너사와의 협업도 주요 요소로 꼽았다. 기술 경쟁 심화와 고객경험 고도화에 대응해 파트너십을 통한 공동 기술 개발 및 인프라 활용으로 운영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 정부·지자체와의 정책·데이터 협업을 통해 규제에 대응하고 기업·기관 대상 전용 상품 개발로 민간 파트너십을 확대할 것을 보고서는 권고했다.
삼정KPMG 김봉수 상무는 “한때 고성장을 기록했던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은 법·규제 리스크와 사회적 이슈로 성장률이 둔화되며 재편되고 있다”며, “시장이 성숙하는 과정에서 변곡점에 놓인 국내 기업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내달 부산 APEC 오는 40개국 장관, 수소·전기차로 의전”
- AI 기반 육·해·공 기술 한자리에…무인이동체 산업엑스포 개막
- 정부, 무선전력 전송 상용화 테스트베드 구축에 150억원 투입
-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 통계 집계 이래 첫 감소
- 미래 금융 산업 트렌드는 ‘연결성’·‘토큰화’·‘사이버보안’
- 지난해 4분기 글로벌 VC 투자 1,086억 달러…AI 관련 기업에 집중
- 에브리봇, 자회사 ‘에브리봇모빌리티’ 설립…퍼스널 모빌리티 사업 확대
- KT, 제주서 지능형 퍼스널 모빌리티 실증…4자간 MOU 체결
-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 본궤도…국토부·LH·민간사업자 시행 합의
- 카카오모빌리티, 피유엠피·지바이크와 맞손…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