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방위사업청, 우주항공청,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2025년도 무인이동체 산업엑스포(UWC 2025)를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무인이동체는 드론,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배송·서빙 로봇, 무인선박처럼 자율주행 또는 원격 조종이 가능한 육·해·공 이동체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전시회는 민·군 연구개발(R&D) 혁신 성과와 다양한 활용 분야를 소개하고 국내외 민관군 네트워킹, AI 활용 무인이동체 관련 산업 및 국방 분야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전시회에는 각 부처 R&D 성과들이 전시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현대로템, 브룩허스트거라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및 AI 전문 기업 등이 참가한다.
민군 겸용 첨단 AAM 기체, 하이브리드 군수송 드론, 다목적 무인헬기, 무인 소방 로봇, 가족 보행 로봇, 자율비행 드론 기반 물류 재고조사 자동화 시스템, 성층권 장기체공 드론, 험지 정찰용 드론·육상 무인이동체, 무인잠수정, 자율운항 선박 기술 등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국장은 “AI와 융합된 무인이동체 기술은 산업 활용성과 국가안보상 중요한 기술”이라며 “관계 부처 합동으로 저고도 첨단 모빌리티 생태계 강화 전략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교통안전공단, ‘K-드론배송’ 실증 대비 안전관리 체계 돌입
- ‘스페이스X’ 추격하는 아마존…두 번째 인터넷 위성 발사
- 국토부, 지자체 대상 ‘드론공원’ 지정 공모
- 국내 연구진, 초음파 기반 생체 삽입형 배터리 무선충전 기술 개발
- ETRI, 공중이동체 기반 대용량·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개발
- 도로·장애물 따라 변형 자유자재…기계연, 모양 변하는 바퀴 개발
- SKT, 불법 드론 대응 통신·AI 통합 모듈 개발
- KT, 5G·위성 주파수 대역서 동작하는 RIS 기술 개발
- 레인보우로보틱스, 이동형 양팔로봇으로 미국 시장 공략
- 한계 봉착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수익성 한계 돌파할 전략 수립해야”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