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검증·교차 검증 등 데이터 정합성 강화
코오롱베니트가 HTML5 기반의 통합 공시 플랫폼 ‘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을 정식 론칭한다고 28일 밝혔다.
국제회계기준(IFRS), ESG 등 글로벌 규제 환경에서 채택이 확대되고 있는 XBRL 공시의 HTML5 기반의 글로벌 플랫폼으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뷰어 테스트를 통과했다.
특히 해외 주요 뷰어 및 분석 툴과의 호환성을 확보하여 영문 서식 지원 기능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들이 국내 기업의 공시자료를 보다 신뢰도 높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새로운 편집기는 공시 업무 전반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구현했다. 입력과 검증 과정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다양한 검증 규칙과 자동화된 교차 검증 기능을 통해 데이터 오류를 최소화하고 정합성도 강화했다.
코오롱베니트는 “기존 XBRL 기술을 넘어 차세대 공시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처리 기능을 다수 탑재한 것도 차별점”이라며 “국내외 기관 대상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토대로 실무 중심의 검증 로직과 기능을 구현해 실제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HTML5 기반 인터페이스를 적용해 사용자가 맞춤형 서식을 자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했다. HTML5 서식과 XBRL 데이터 포인트를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어 보고 요건에 맞춘 유연한 보고서 작성이 가능하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코오롱베니트 이태훈 금융서비스팀 팀장은 “새로 출시한 차세대 공시 플랫폼은 코오롱베니트가 참여한 필리핀, 베트남 등 해외 시스템과 데이터포인트 기반의 정규화 된 공시, ESG 공시 등에 최적화된 플랫폼”이라며, “이 솔루션은 기업의 보고 품질과 글로벌 감독기관의 심사 효율, 투자자의 신뢰 제고까지 이어지는 공시 인프라 혁신의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제조 VLM 실증·상용화…코오롱베니트·노타, NVA 기반 프리패키지 공개
- 코오롱베니트, AI얼라이언스 협업 첫 자체 프리패키지 3종 공개
- 코오롱베니트, LG ‘엑사원’ 기반 한국형 소버린AI 패키지 개발
- SAP “AI시대, 데이터 관리 넘어 활용할 수 있어야 혁신”
- 신한DS, 더존비즈온과 옴니이솔 비즈니스 파트너 협약
- 중소·중견기업 ‘스마트공장’ 도입률 19.5%…제조AI 도입률은 0.1% 수준
- 영림원소프트랩, 티엠씨 차세대 통합ERP 구축 프로젝트 시동
- 코오롱베니트, “베리타스·코헤시티 합병 시너지…데이터 보안 시장 정조준”
- 다우데이타, PwC컨설팅과 ERP 구축 사업 ‘맞손’
- 네이버클라우드·씽크풀, 투자금융 분야 AX 가속화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