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얼라이언스 참여사 노타 ‘NVA’ 적용, 국내 최초 제조 VLM 실증
코오롱베니트가 국내 최대 규모의 민간 인공지능(AI) 협력체 ‘코오롱베니트 AI얼라이언스’에 속한 온디바이스 AI기업 노타와 협력해 생성AI 기반 영상 관제 솔루션 ‘노타 비전 에이전트(Nota Vision Agent, NVA)’를 공식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양사 간 협업 프로젝트는 노타의 기술로 제조 현장의 안전 관제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 제조DX 담당자가 현장 개념검증(PoC)을 제안하며 시작됐다. 특히 국내 최초로 시각-언어 통합 모델(Visual Language Model, VLM) 기술을 제조현장에 실증하고 상용화한 사례라고 코오롱베니트는 설명했다.
VLM 기술은 작업장의 특이 상황과 표준작업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준수를 동시에 살펴 품질과 안전 수준을 높여준다. 시각과 언어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AI로 추론 기능을 통해 복잡성 높은 상황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코오롱베니트는 “산업 현장을 넘어 건물 관리, 물류 분야로도 확장가능한 NVA 기반의 AI 프리패키지를 최근 출시했다”며 “노타의 영상 관제 솔루션인 NVA와 이에 최적화된 하드웨어를 결합해 코오롱베니트가 판매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AI얼라이언스 내 기업을 대상으로 단순히 기술 개발만을 돕는 것이 아닌 실제 고객 발굴과 수익성 창출까지 도모한다는 게 코오롱베니트의 설명이다.
코오롱베니트 AI얼라이언스는 참여사가 개발한 기술 기반의 AI 프리패키지를 지속 늘릴 계획이다. 참여사의 AI기술을 시장에 빠르게 확산하는 공급망 체계를 마련하는데 집중한다는 목표다.
특히 AI얼라이언스 참여사의 자체 소프트웨어(SW)와 코오롱베니트가 보유한 하드웨어(HW) 기술 요소를 통합한 패키지형 솔루션으로 참여사에는 수익을, AI생태계는 확장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코오롱베니트는 국내 중소형 AI 기업의 기술 발굴과 AI얼라이언스를 통한 육성, 글로벌 진출까지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며, “출범 2년 차를 맞은 올해 AI얼라이언스 2.0 전략을 본격화해 협력사에는 판로 개척과 마케팅 지원을, 고객사에는 최적화된 AI 도입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과기정통부 ‘오픈랜’ 실증사업, 5G 특화망·AI랜으로 확대
- AI 확산 위한 협력안 모색…과기정통부·산업부 ‘맞손’
- 정부 참여 ‘발전산업 고용·안전’ 협의체 출범
- 코오롱베니트, AI얼라이언스 협업 첫 자체 프리패키지 3종 공개
- ‘보안 퍼스트’ 전략 공개한 LGU+…“민·관 정보보안 협의체 구성하자”
- ‘K-AI휴머노이드’ 개발에 국내 산·학·연 힘 보탠다
- NIA, AI-RAN 얼라이언스 멤버 참여…‘AI 고속도로’ 실현 가속화
- 과기정통부, 방송미디어 AI 혁신기술 개발에 1,363억원 투입
- 정부 ‘초격차 스타트업’ 지원에 유니콘 2개사 탄생
- 코오롱베니트, 생산성 개선 위한 AI기술·활용 전략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