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싱가포르 정부·기업들이 약 2년 만에 만나 디지털전환과 혁신을 위한 협력 기반을 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와 제2차 한-싱가포르 디지털 경제 대화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화는 2023년 발효된 우리나라 최초의 디지털통상 협정인 한-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의 후속조치로, 2023년 5월 서울에서 열린 제1차 대화에 이어 양국이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협력 기반을 한층 심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화에는 양국 디지털 기업 33개사가 참석해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DT)과 디지털 금융 혁신, 디지털 인프라와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관련 비즈니스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 시장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현장에서 양국 기업은 제조, 해양, 금융,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현대차는 스마트팩토리와 미래 모빌리티 전략을, 맵시는 해양 디지털화와 탈탄소화 솔루션을 소개했으며 금융 분야의 에이젠 글로벌과 Acme는 각각 AI 기반 금융 혁신 사례와 금융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한-싱가포르는 디지털동반자협정을 통해 양국간 디지털 협력의 지평을 넓혔다”며 “이번 디지털 경제 대화가 양국 기업들이 디지털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굴하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한화로보틱스, 산업부 ‘AI팩토리 전문기업’ 선정
- 빌 게이츠 만난 최태원…“에너지·바이오 사업 협력 강화하자”
- 산업부, 온실가스 감축시설 R&D 투자기업에 융자 추가지원
- “일상 전 분야에서 AI대전환…공공데이터 개방 적극 추진”
- 美 상무부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확대…관련 산업계 피해 우려
- AI 확산 위한 협력안 모색…과기정통부·산업부 ‘맞손’
- 산업부, 1차 외국인투자 전문가 포럼…FDI 정책전환 모색
- 올해 하반기 기업경영여건 전망…‘개선’이 ‘악화’보다 2배 많아
- 산업부, 9,591억원 추경안 국회 제출…통상환경 변화 대응 나선다
- 반도체·자동차·선박이 견인…8월 수출 1.3% 늘었다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