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통한 검증·자동 평가 방식으로 객관성 확보
삼성전자가 25일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업무 생산성 벤치마크 ‘트루벤치(TRUEBench)’를 공개했다.
트루벤치는 삼성전자 DX부문 선행 연구개발조직인 삼성리서치가 사내 생성AI 모델 적용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벤치마크로 AI 모델의 업무 생산성 성능을 평가한다.
삼성전자는 “많은 기업들이 업무 전반에 AI를 도입하고 있지만, 기존 벤치마크로는 AI 모델의 업무 생산성 성능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개발 배경을 밝혔다.
시중에 공개돼 있는 대부분의 AI 벤치마크는 영어를 중심으로 연속 대화가 아닌 한번 혹은 제한된 횟수로 대화를 평가하고 있으나 트루벤치는 기존 벤치마크와 차별화해 업무 생산성에 대한 집중 평가를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평가 항목은 10개 카테고리, 46개 업무, 2,485개의 세분화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평가 항목은 기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콘텐츠 생성, 데이터 분석, 문서 요약 및 번역, 연속 대화 등 실제 오피스 업무에서 활용되는 체크 리스트를 기반으로 완성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루벤치는 총 2,485개의 평가 기준으로 사용자의 짧은 요청부터 최대 2만자의 긴 문서 요약까지 실제 업무 상황을 폭넓게 평가하게 된다.
평가 결과도 기존 벤치마크와 차별화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사용자는 한 번에 최대 5개 모델을 선택해 비교할 수 있어 다양한 AI 모델의 성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응답 결과에 대한 평균 길이 등도 공개해 성능과 효율성 지표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다.
전체 평가 점수뿐만 아니라 10개 카테고리에 대한 세부 항목별 점수도 공개해 기존 벤치마크보다 세밀한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등 총 12개 언어를 지원한다.
특히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을 고려해 영어와 한국어 등 여러 언어가 혼합된 교차 언어의 번역 기능 평가도 가능하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트루벤치의 데이터 샘플과 AI 모델들의 평가 결과가 표시된 리더보드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트루벤치가 답변의 정확성뿐만 아니라,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용자의 의도나 맥락까지 평가가 가능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평가 항목을 검증하는 방식에는 AI가 활용되는데, 사람이 구축한 평가 기준을 AI가 검토해 오류나 모순, 불필요한 제약이 없는지 확인하며 지속적인 교차 검증의 반복을 통해 더 정교한 평가 기준을 완성한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은 “삼성 리서치는 다양한 실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생산성 AI기술 경쟁력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며, “트루벤치 공개를 통해 생산성 성능 평가 기준을 정립하고 삼성전자의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톡에서 챗GPT 쓴다”…카카오, 15년 만의 서비스 개편 단행
- 삼성, ‘버라이즌 6G 혁신 포럼’ 참여…6G 기술 개발 가속화
- 한컴, PDF 추출 핵심 기술 ‘깃허브’에 오픈소스로 공개
- 올해 AI 모델 수 전년비 2배 증가 예상…“소형 모델이 주류 부상”
- [데스크칼럼] ‘K-AI’ 국가대표로 선발된 SKT…보안 우려는 해소됐나
- 알리바바, MoE 기반 오픈소스 영상 생성 모델 ‘완2.2’ 공개
- SKT, A.X 기반 멀티모달·범용 문서 해석 기술 공개
- SKT·크래프톤, 추론 특화 언어모델 3종 오픈소스로 공개
- KT, 자체 개발 한국적 AI 모델 ‘믿:음 2.0’ 오픈소스로 푼다
- “명확한 AI 로드맵 갖춘 기업이 50% 더 높은 가치 실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