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경일대학교/하이퍼센싱 팀 각각 대상 수상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국토교통부가 12일 자율협력주행 서비스와 사업모델 발굴을 위해 진행한 서비스 아이디어·사업모델 공모전 수상팀 12팀을 선정, 발표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주최하고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가 후원한 이번 공모전에 총 97팀이 참가했다. 서비스 아이디어는 5월5일부터 7월31일까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모델은 5월15일부터 6월15일까지 접수가 진행됐다.
국토부는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서류심사, 최종발표 심사를 거쳐 접수된 서비스 아이디어와 사업모델 중 총 12개의 아이디어를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서비스 아이디어 부문에서는 ‘이면도로 안전주행을 위한 실시간 정밀도로지도 구축 시스템’이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 아이디어를 제안한 서울시립대 팀은 국토교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이 수여된다.
이 아이디어는 C-ITS 노변 통신기지국과 차량이 협력하여 사고발생빈도가 높은 이면도로의 정밀도로지도 변경사항을 실시간 취득-활용할 수 있는 안을 담았다.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사업모델 부문에서는 ‘라이다 융합 기반 교차로 모니터링 시스템’이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사업모델을 제안한 경일대학교/하이퍼센싱 팀이 국토교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원을 수상했다.
이 시스템은 광학센서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도로 검지기에 레이저 방식을 도입해 차량과 보행자 탐지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C-ITS)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야간에 탐지 성능이 저하되는 기존 탐지기의 단점을 보완해 효과적인 자율협력주행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 수상작은 차량-도로간 협력주행체계(C-ITS) 실증사업과 민간참여형 자율협력주행 시험공간(리빙랩)에 시범적용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SKT, 강소 스타트업 5개사와 5G·MEC 사업 협력 ‘맞손’
- 에픽게임즈 ‘언리얼 엔진’, GM 전기트럭 ‘GMC허머EV’에 탑재
- 국토부, 자율차 핵심 ‘HD맵’ 구축범위 일반국도로 확대
- 포티투에어, 美 해상운송사 노턴릴리와 해상 드론배송 서비스 개시
- 신산업 플랫폼 자율주행차, “사회적 문제 해결 수단으로도 활용해야”
- 기술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차, 이르면 올해 7월 출시된다
- KETI·SKT, 융합생태계 조성 ‘맞손’…다기능 AI 라이다 시스템 공동개발
- 전기차(EV) 전용 정비업체 등록 기준 완화된다
- 온세미, 2세대 SiPM 센서 적용된 라이다 애플리케이션 레퍼런스 공개
- 카카오모빌리티, 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플랫폼 기술 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