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27일 한국도로공사가 주관하는 ‘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 국책과제 연구실증에서 ‘대형 화물차 군집주행을 위한 운영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시연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군집주행 운영서비스 플랫폼은 이날 서여주IC~여주JCT 구간(8km) 공용 도로에서 진행된 시연에서 ▲군집 신청 ▲길 안내 ▲군집 합류 ▲대열 유지 ▲대열에 일반 차량 진입 시 간격 자동 조정 ▲군집 이탈 등 군집주행 전 과정에 이르는 운영기술을 시연했다.
군집주행은 대형 화물차 여러 대가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자율협력주행기술이다. 운전을 담당하는 선두 차를 중심으로 다른 차량들이 플랫폼을 통해 합류, 서로 통신하며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군집에 합류한 추종 차량은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으로 운행한다.
한국도로공사는 군집주행 기술 확보를 위해 2018년부터 국토교통부의 지원을 받아 ‘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 국책 과제를 주관해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군집주행 관련 기술들이 구동될 수 있는 운영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기술 상용화를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모델 구축을 담당했다.
사측은 이번 과제를 위해 군집 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특화된 길 안내 내비게이션을 포함해 ▲위급 상황 시 경고 메시지 전송 알람보드 ▲주행 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선두 차량 관점의 도로 영상을 전송하는 씨스루(See-through) 등의 기능을 담은 태블릿용 모바일 앱 플랫폼을 별도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군집주행 운영서비스 플랫폼은 군집 차량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 군집 대열에 합류할 차량을 연결해주는 ‘매칭 알고리즘’을 포함해 실시간 교통 상황을 예측해 차량 합류, 이탈 지점을 제시하며 경로를 안내하는 ‘라우팅 알고리즘’, 플랫폼에 연결된 차량의 위치와 군집 현황, 차량 상태 등을 관리하는 ‘관제 모듈’로 구성됐다.
특히 택시 인공지능 배차, 내비게이션 길 안내 등 카카오T에 적용된 모빌리티 기술이 다수 활용됐다.
이번 군집주행 운영서비스 플랫폼에 사용된 기술 중 실시간 교통 상황에 맞춰 최적의 군집 합류지점을 찾아 주는 ‘다이내믹 랠리 포인트 결정 기술’과 ‘AI 기반 군집 매칭 기술’ 등 4건의 자율주행 플랫폼 기술은 특허출원을 끝낸 상태다.
연구를 총괄한 카카오모빌리티 인텔리전스부문 전상훈 박사는 “카카오T 플랫폼에서 축적해온 모빌리티 기술을 바탕으로 국책 연구에 참여하고 군집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연구 성과를 달성하게 되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관련기사
- “자율차 시대 앞당긴다”…국토부, 서울 등 6개 시도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지정
- “운전석 없는 자율차, 임시운행 허가 받는다”…국토부, 허가 규정 개정
- 국토부, 자율협력주행 서비스·모델 공모전서 12팀 선정
- 국토부, 자율차 핵심 ‘HD맵’ 구축범위 일반국도로 확대
- 신산업 플랫폼 자율주행차, “사회적 문제 해결 수단으로도 활용해야”
- 아우토크립트, 한국도로공사 V2x 보안인증 사업 수주
- 기술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차, 이르면 올해 7월 출시된다
- KT, 세종시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사업 합류…‘MaaS/TaaS 경쟁력 강화’
- 쌍용차 코란도, 레벨3 임시운행 허가 취득…내달 시험주행 시작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T 비즈니스 신규 서비스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