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애플이 디지털 강의 앱(App)에 대한 인앱결제(In-App Payment)의 적용 유예기한을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애플은 23일(미국시간) 자사 개발자페이지를 통해 그간 인앱결제 확대 정책을 추진하면서 여러 명을 상대로 한 화상강의 앱에 대해서는 일단 올해 말까지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지만 그 기간을 내년 6월까지 늘렸다고 설명했다.
앞서 애플은 지난 9월 자사 iOS 앱에서 여는 디지털 강의나 요리교실, 피트니스 강좌 등 디지털 이벤트에서 얻는 수익에 대해 30%의 수수료를 면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애플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든 결제액의 30%를 플랫폼 운영비로 받는 정책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인앱결제는 그간 게임에서만 강제돼왔다. 이 같은 애플의 행보에도 변화가 생긴 셈이다.
최근에는 수익이 100만달러 미만의 모든 개발자(개발사)를 대상으로 수수료를 15%로 절반 감면해주는 앱스토어 스몰 비즈니스 프로그램을 발표하기도 했다.
CNBC는 애플의 유예기한 연장 결정을 “앱스토어를 통해 공급되는 앱의 거의 모든 결제에 30%의 수수료를 물리려는 인앱결제 확대가 전세계에서 반발을 사는 가운데 나온 가장 최근의 화해 조처”라고 보도했다.
더 버지도 “애플이 최근 앱스토어 정책과 관련된 유연한 행보는 에픽게임즈와 진행 중인 법적분쟁, 유럽지역에서의 반독점 조사 등 다양한 이슈와 맞물린 상태에서 눈에 띄는 점”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D램 가격 하락세, 삼성·SK하이닉스 3분기 D램 매출 감소 이유”
- 인텔, FPGA-ASIC 잇는 반제품형 실리콘 ‘eASIC N5X’ 공개
- “코로나19로 커머스 앱(App)은 성장세…이용률도 증가”
-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후 모바일 게임 인앱결제 수익 24% 늘었다”
- 브로콜리, 우리카드 인앱(In-App) 서비스 출시…B2B 시장 진출
- 모바일 마케팅 광고비 가장 큰 북미지역…“CPI 평균치, 아태지역 대비 4배 높다”
- SKT, 수능 수험생 대상 ‘수고0페’ 프로모션…이달 말까지
- 코로나19 팬데믹 시작된 3월~5월, 모바일 게임 ‘인앱(In-App)’ 결제 크게 늘었다
- 업계 반발로 한 걸음 물러난 구글, “앱 장터 수수료 일부 15%로 인하”
- 공정위, ICT전담팀 내 디지털 광고분과 신설…‘구글·페이스북 갑질 정조준’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