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무역수지 약 710억달러 흑자 기록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공장 [자료사진]
삼성전자 클린룸 반도체 생산공장 [자료사진]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지난해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액이 크게 늘면서 ICT 수출액이 역대 3번째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2020년도 ICT 수출입 통계(잠정)’를 발표했다. 지난해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은 전년비 3.8% 증가한 1,836억달러로 집계되면서 2018년(2,203억달러), 2017년(1,976억달러)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ICT 수입액은 1,126억달러, 무역수지는 710억달러 흑자였다. 코로나19 확산세로 전세계 경제가 둔화하면서 지난해 상반기에는 전년동기비 ICT 수출이 2.8% 줄었다. 

그러나 비대면 경제가 활성화하면서 관련 부품 수요가 늘어 지난해 6월부터 ICT 수출은 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주요 수출품목은 반도체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로 조사됐다.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보다 5.4% 증가했고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전년보다 53.1% 늘었다. 코로나19로 확산된 비대면 서비스 시장 확대로 PC와 데이터센터 등의 수요가 늘면서 반도체 부품 수출도 늘었다.

[과기정통부 자료인용]
[과기정통부 자료인용]

메모리반도체의 수출액은 640억달러였고 시스템반도체 수출액은 303억달러로 연간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허나 디스플레이(-5.1%)와 휴대전화(-6.0%)은 수출은 줄면서 각각 207억2000만달러, 112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은 중국(868억8000만달러), 베트남(297억8000만달러), 미국(221억3000만달러), 유럽연합(112억5000만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국가별 수입은 중국(472억9000만달러), 일본(104억2000만달러), 미국(80억2000만달러), 베트남(97억2000만달러) 순이었다.

ICT 무역수지는 709억6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395억8000만달러)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최대 흑자국으로 조사됐다. 이어 베트남(200억5000만달러), 미국(141억1000만달러), EU(46억6000만달러)로 조사됐다.

과기정통부는 “5G 서비스, 인공지능(AI) 등 산업 수요가 늘면서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올해에도 ICT 수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