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특허청이 연구개발(R&D) 과정에서 특허 데이터를 전략적으로 분석해 고부가가치 특허를 창출하고 R&D 성과를 높이는 ‘2021년 지식재산 기반 R&D(IP-R&D) 전략지원’ 사업을 시작한다.
이 사업은 특허전략 전문가와 특허분석기관으로 구성된 지원전담팀이 중소·중견기업, 대학·공공연의 개발기술과 관련되는 특허정보를 분석해 특허장벽에 대응하고 우수특허 확보를 위한 종합 R&D 전략을 제공하는 게 목표다.
R&D 초기부터 선행 특허정보를 분석해 기술변화 방향, 특허 공백영역과 같이 유용한 정보를 도출하고 외국기업이 선점한 특허장벽을 우회 혹은 회피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를 수행해 분쟁위험을 줄일 수 있다.
지난 5년간(2015년∼2019년)의 IP-R&D 전략지원을 받은 중소기업 R&D 과제는 지원받지 않은 중소기업 정부 R&D 과제 대비 우수특허비율이 2배, 미국·유럽·일본특허청에 동시 출원된 특허비율은 3.1배에 이른다.
동기간 IP-R&D 전략지원을 받은 대학·공공연 R&D 과제도 미지원 대비 특허 이전율 1.4배, 기술이전 계약당 기술료도 4.1배로 산업계에서의 활용가치가 높은 특허 창출도 가능하다는 게 특허청의 설명이다.
올해는 지난해(361억원) 대비 약 12% 증가한 404억원의 예산을 투입, 총 526개 R&D 과제를 지원한다.
특히 지난해부터 집중 지원해왔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지원하면서 BIG3(시스템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DNA(빅데이터/통신/AI), 한국판 뉴딜 등의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산업에도 집중 지원한다.
특허청 박호형 산업재산정책국장은 “특허 데이터는 전세계 모든 기업, 연구소의 R&D 트렌드가 집약돼 있는 최신 기술정보가 담겨있다. 그간 이를 활용한 IP-R&D 전략지원을 통해 전문인력과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도 핵심·원천특허를 확보할 수 있었다”며 “이러한 성과를 국가 R&D 전반에 확산하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엔터·특허청, 유사 특허 검색 서비스에 AI도입…MOU 체결
- ETRI, 디스플레이·광통신 부품기업 자립화 지원 확대
- 경기도, 반월·시화산업단지 ‘소부장 산업’ 전진기지로 육성 추진
- 특허청, AI·IoT서비스·바이오 관련 특허출원·획득 간소화
- OLED 소재 관련 특허출원 증가세…“LG계열사 가장 많아”
-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조성사업’ 본궤도 올랐다, 경기도 심의 통과
- “올해부터 새로 달라지는 지식재산(IP) 제도는 뭘까?”
- 이랑텍, 한국형 RF스마트필터 개발 집중…해외시장 확대 강화
- 특허청, AI 기반 상표·디자인 이미지 검색시스템 개발…심사업무 도입
- 상용SW로 빠르게…특허청, ‘특허료 징수규칙 일부개정’ 시행